본문 바로가기

잡학사전5

훈훈한 농사속담 _ <봄> 편 농사 속담이 많습니다. 24절기 관련 속담만이 아니라 계절별로 농사속담이 있습니다. 그만큼 농사가 계절이나 날씨에 민감하기 때문이겠지요. 계절별 농사속담 중 '봄'과 관련된 것들 모아보았습니다. 강철이 가는 데는 가을도 봄이다 강철은 용이 되려다 되지 못한 독용으로 이 강철이 지나갈 때는 비는 오지 않고 마른번개만 친다고 한다. 번개만 치고 비가 오지 않으니 가뭄이 들어 가을이 되어도 흉년으로 마치 봄 같다는 뜻 봄비는 한번 내릴 때마다 따뜻해지고, 가을비는 내릴 때마다 추워진다 봄비가 오고 나서 개이면 중국 남쪽으로 부터 공기가 유입돼 따뜻해지고, 가을비 온 후엔 중국 북쪽으로부터 차가운 대륙성고기압이 이동해 오므로 추워진다는 말. 가을 안개는 쌀안개 봄 안개는 죽안개 쌀과 보리가 주곡인 우리나라에서 .. 2023. 3. 15.
24절기와 농사속담 24절기와 농사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1년을 24개로 나눈 것으로 명칭에 농사와 관련된 속담이 많습니다. 이는 음력을 사용하는 동양권에서 농사를 효율적으로 짓기 위해 태양의 운행에 근거해 만든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24절기 중 농사와 관련된 속담들, 모아봅니다. ▼24절기에 대한 이해는 아래글 참고하세요 24절기가 대체 뭐길래? 간단 요약본, 한번에 이해하기 24절기는 양력 개념 24절기가 예로부터 쓰이던 것이고 그 명칭이 한자로 되어 있고 농사와 관련된 부분이 많다 보니 많은 이들이 음력 개념인가 합니다. 하지만 24절기는 농사를 짓는데 태양의 움 simsimto.tistory.com 24절기와 농사속담 입춘 입춘에 보리 뿌리 3개면 풍년 든다 월동 기간 중 관리를 잘하여 뿌리가 살아 있도록.. 2023. 3. 10.
24절기가 대체 뭐길래? 간단 요약본, 한번에 이해하기 24절기는 양력 개념 24절기가 예로부터 쓰이던 것이고 그 명칭이 한자로 되어 있고 농사와 관련된 부분이 많다 보니 많은 이들이 음력 개념인가 합니다. 하지만 24절기는 농사를 짓는데 태양의 움직임이 중요하기 때문에 음력을 보완해 탄생한 개념입니다. 즉 24절기는 양력에 기반한 개념입니다.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1년을 24개의 절기로 나눈 것으로 태양의 황경이 0°인 춘분점이 기준이 되어, 태양이 15° 씩 이동함에 따라 각각, 청명, 우수… 로 명칭돼, 90° 지점을 지나면 하지, 180°면 추분, 270°면 동지가 되고 그렇게 하여 1년에 총 24개의 절기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이때 봄의 시작은 입춘을 기점으로 하며, 각각 입하, 입추, 입동으로 사계절이 표시됩니다. 본 포스팅은 24절기에.. 2023. 3. 10.
농사 24절기, 여전히 훈훈한 농사지침 예전엔 농사에 있어 중요지침으로 작용했을 24절기, 지금은 의미가 많이 퇴색했지만 절기이름이 농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일까요? 여전히 훈훈하게 다가옵니다. 한 해 농사를 시작하는 이 즈음, 되짚어보는 의미가 클 것 같아 정리해 봅니다. 농사와 밀접한 24절기 일상생활은 음력에 기반해 생활하였지만 ‘태양의 운행’을 무시할 수 없는 농사, 그 필요에 의해 탄생한 것이 24절기입니다.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1년을 24개로 나눈 절기로 그 명칭은 각각 농사와 관련된 이름이 많습니다. 하나하나 살펴봅니다. 24절기가 음력인 줄 알고 계셨던 분들은 아래 글, 참고하세요 ▼24절기는 음력? 양력? : 24절기 개념과 유래, 뜻 알아보기 24절기는 음력? 양력? : 24절기 개념과 유래, 뜻 알아보.. 2023.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