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심토/산야초31

연영초(연령초) 포토 | 큰연영초(큰연령초)와의 차이점 구별법 5월 10일, 강원도 해발 800미터 산지, 구담산방 근처에서 만났다. 커다란 몸집이 멀리서도 한눈에 들어왔다. '저게 뭐지?' 큰 잎과 눈부시게 흰 꽃, 처음 보는 식물, 꽃은 지고 있었지만 기품 있고 아름다웠다. 돌아와 찾아보니 연영초, 연령초라는 식물이었다. 비슷한 것으로 큰연영초(큰연령초)가 있어, 차이점 또한 찾아보았다.   ✅목차연영초 연령초(延齡草)연영초 연령초의 생태연영초 연령초의 활용과 효능번식 및 재배법연영초(연령초)와 큰연영초(큰연령초)의 차이점 구별법마치며연영초 연령초(延齡草)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Trillium kamtschaticum영문명 : Wake-robin.분포 : 한국(북부),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동부,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일본,.. 2024. 5. 23.
애기똥풀 포토 백굴채 효능, 전설 꽃말까지 종지나물이 가득하던 풀밭에 애기똥풀꽃이 피었습니다. 줄기를 자르면 노란 애기 똥 같은 유즙이 나오는데서 붙여진 이름 애기똥풀, 이름도 귀엽고 꽃도 예쁩니다. 하지만 애기똥풀은 독초입니다.    독초와 약초는 동전의 앞뒷면 같은 것이어서 약성을 알면 독초도 요긴하게 쓸 수 있습니다. 애기똥풀을 약재로 쓸 때 백굴채라 하는데, 특히 피부질환에 좋다 합니다. 5월의 노란 꽃, 애기똥풀 포토와 효능 살펴봅니다.   ✅ 목차애기똥풀애기똥풀 생태애기똥풀 활용 및 효능애기똥풀에 관한 슬픈 전설  애기똥풀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양귀비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영어명 : ‘셀라딘(Celandine)’분포 : 한국·일본·중국 동북부·사할린·몽골·시베리아·캄차카반도.. 2024. 5. 22.
이팝나무 조팝나무 차이와 구별 | 포토 & 전설 이팝나무, 조팝나무 언뜻 헷갈릴 수 있는데, 이팝나무 꽃은 이밥(쌀밥)을 닮았고, 조팝나무꽃은 조밥(좁쌀로 지은 밥)을 닮았다. 그리고 조팝나무는 더 먼저 피어 4월에, 이팝나무는 그보다 늦은 5월에, 조팝나무꽃이 지고 난 자리를 잇는다.두 꽃을 사진으로 구별해 본다. 두 나무에 얽힌 전설, 이야기도 함께 살펴본다.   ✅목차이팝나무 포토이팝나무 전설조팝나무 포토조팝나무 전설마치며  이팝나무 포토       이팝나무 전설 옛날 경상도 어느 마을에 열여덟 살에 시집온 착한 며느리가 살고 있었다. 그녀는 시부모님께 순종하며 쉴 틈 없이 집안일을 하고 살았지만, 시어머니는 끊임없이 트집을 잡고 구박하며 시집살이를 시켰다. 온 동네 사람들은 이 며느리를 칭송하는 한 편 동정했다.그러던 어느 날 집에 큰 제사가 .. 2024. 5. 4.
이팝나무꽃 고봉밥에 풍년 들겠네 | 포토 & 꽃말 이름 유래 효능 이팝나무꽃이 눈부신 5월이다. 이팝나무꽃이 풍성하면 풍년 든다는데, 이팝나무 하얀 꽃송이가 고봉밥이다. 이팝나무꽃 아름다움을 만끽하려 작정하고 나섰던 길, 고양시 일산 덕이초등학교 앞에서 담았던 이팝나무 꽃 포토스케치를 펼쳐본다. 꽃말, 이름 유래, 노거수, 효능까지 알아본다.   ✅목차이팝나무꽃 포토 스케치이팝나무이팝나무 학명 & 이름의 유래이팝나무 생태 및 특징이팝나무 활용 및 효능천연기념물과 노거수 이팝나무들마치며  이팝나무꽃 포토 스케치                     이팝나무 쌍떡잎식물 물푸레나무과 이팝나무속의 낙엽교목으로 우리나라 남부 지방을 비롯해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이팝나무의 학명은 '치오난투스 레투사(Chionanthus retusa)'인데, 이는 하얀 눈꽃이라는 뜻.. 2024. 5.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