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토/농작물16

[엉겅퀴 효능] 밀크씨슬 흰무늬엉겅퀴의 실리마린-간 기능 개선 효과 엉겅퀴에 대한 효능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몇 가지 자료를 토대로, 실리마린을 함유한 밀크씨슬(흰무늬엉겅퀴)의 간 기능 개선효과뿐만 아니라, 우리 자생 엉겅퀴들이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에도 효과가 있음을 소개한다.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밀크씨슬(밀크시슬)밀크씨슬(밀크시슬)이라고 불리는 엉겅퀴의 학명은 실리범 마리아넘(silybum marianum)이다. 그리고 밀크씨슬을 우리말로 번역한 이름은 흰무늬엉겅퀴다. 밀크씨슬이 유명한 것은 간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는 '실리마린(silymarin) 성분' 때문이다.일반적으로 밀크씨슬, 서양엉겅퀴, 흰무늬엉겅퀴, 실리마린, 실리빈은 모두 비슷한 뜻으로 사용되지만, 밀크.. 2024. 4. 10.
기르기 쉬운 작물, 머위와 삼잎국화(겹삼잎국화) 재배, 포기나누기 어릴 적 봤던 키다리노랑꽃이 이 봄, 삼잎국화 나물로 다가오는군요. 밭 가에 아무렇게나 자라던 머위가 맛 좋고 몸에 좋고 기르기도 좋은 작물로 다가오는군요. '꽃 보다 나물'이고 '잡초 보다 작물'입니다. 머위와 삼잎국화 재배, 포기나누기 알아봅니다. 먼 농부, 캠핑 농부, 게으른 농부의 잡초농법 심심토는 먼 데 있는 농토입니다. 농토가 멀다 보니 자주 가지 못합니다. 그래서 농부는 꾀를 냅니다. '한 번 심어 놓으면 알아서 잘 자라고, 알아서 잡초 이기고, 가뭄에도 강하고, 햇빛에도 강하고, 잡초에도 끄떡없고 장마에도 태풍에도 끄떡없이 꿋꿋하게 굳세게 자라는 작물은 무엇이 있을까?' 곰곰 생각하고 연구 또 연구합니다. 스스로 '자연농법' '잡초농법'... 이름도 마구 갖다 붙입니다. 물론 맛도 좋고 영.. 2023. 4. 21.
맛 좋고 기르기 쉬운 작물, 삼잎국화(겹삼잎국화) 나물 재배법 맛 좋고 기르기 쉬운 작물, 삼잎국화(겹삼잎국화) 나물 재배법 알아봅니다. 강인한 생명력으로 언제 옮겨 심어도 잘 살고, 봄부터 가을까지 나물 채취가 가능한 삼잎국화, 잘 자라기까지 하니 이만한 작물 드뭅니다. 삼잎국화 나물 키다리나물, 꽃나물로도 불리는 삼잎국화나물. 삼잎국화는 꽃잎이 한 겹인 홑삼잎국화와 겹꽃인 겹삼잎국화로 나누는데, 둘 다 오래전부터 농가에서 나물로 식용해 왔습니다. 그중 겹삼잎국화(어린잎과 줄기)가 2021년에 농업진흥청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식품원료로 승인을 받았습니다. 재배농가가 늘 것이 예상되는 가운데 그 재배법 알아봅니다. 삼잎국화(겹삼잎국화) 재배법 식재하기 삼잎국화를 식재하는 방법으로는 일단 두가지 방법이 가능합니다. 씨앗 파종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는데, 저는 모종과.. 2023. 4. 17.
[친절한 레시피] 겹삼잎국화(삼잎국화) 나물 요리법이 궁금하다면! 여름이면 마당가 담벼락에 노란 꽃송이를 휘청이며 피어있던 키다리노랑꽃. 키다리나물, 꽃나물로 불리며 식탁에 오르기도 했는데, 바로 삼잎국화나물입니다. 삼잎국화 나물 요리법 알아봅니다.  삼잎국화, 겹삽잎국화 삼잎국화는 국화과 원추천인국 속(루드베키아 속)에 속하는 식물로 겹꽃으로 된 겹삼잎국화와 홑으로 된 홑삼잎국화로 나눕니다. 모두 식용가능한데, 이는 길 가, 도로변에 조경용으로 심는 원추천인국(루드베키아)과는 구별됩니다.   삼잎국화는 어린잎을 나물로 먹습니다 삼잎국화는 키다리나물, 꽃나물로도 불렸는데 이는 예로부터 봄에 올라오는 어린잎을 나물로 먹었기 때문입니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로 1912년 ~ 1945년에 원예식물로 도입되어 전국적으로 분포하게 되었습니다.나물로 먹을 때 삼잎국화는 지상부 30.. 2023.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