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심토/산야초33

박새는 나물 아닌 독초, 독성식물 구별법 | 포토 4월 5월, 여기저기 산나물이 올라오기 시작할 때 조심해야 할 식물 하나가 있다. 바로 박새(나물)이다. (여기서 '나물'이라고 한 것은 조류 '박새'와 구분하기 위함)박새는 산마늘(명이나물)과 비슷하게 생겨 헷갈리기 쉬운 식물로 나물 아닌 독초, 독성식물이다. 때문에 박새는 약재로 쓰이는 것은 별도로 하고, 나물로서의 섭취는 삼가야 한다. 국립수목원 자료를 토대로 박새의 독성과 중독 사례를 살펴본다.   ✅ 목차1. 박새2. 박새의 특징 및 생태3. 박새의 독성    독성부위    독성물질    중독증상    중독사례    유사식용식물4. 마치며 박새  박새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 여로속의 여러해살이풀로 깊은 산 습지에서 군락을 지어 자란다. 식물체에 강한 독성이 있으며 뿌리는 최토(催吐)·살충제로.. 2024. 4. 21.
민들레, 나물인가 약초인가 독초인가 | 서양민들레의 독성 산야초 아는 만큼 보이고 아는 만큼 활용할 수 있다. 알고 먹으면 나물이 되고 약초가 되지만, 모르고 먹으면 독초가 될 수도 있는 산야초. 먼저 민들레에 대해 알아본다. 민들레 종류와 함께, 나물과 약초로 어떻게 쓰이는지, 그리고 서양민들레의 독성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민들레 민들레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전 세계에 2,000여 종이 존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흰민들레(T. coreanum), 서양민들레(T. officinale), 민들레(T. platycarpum), 산민들레(T. ohwianum), 좀민들레(T. hallaisanense) 등 5종이 알려져 있다. 학명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 Nakai)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2024. 4. 21.
광대나물은 잡초 아닌 약초, 보개초 효능, 약용 식용법 | 포토 이른 봄, 밭둑이나 길가에서 군락을 이루며 피어나는 자줏빛, 보랏빛 꽃 광대나물을 본 적 있는지? 마른땅에서 피어나 봄을 부르는 전령사처럼 화사한데, 그런데 이 잡초가 꽃만 화사한 게 아니라 약효도 좋다 한다. 보개초, 접골초라고도 부르는 광대나물의 약성, 효능 알아본다.   광대나물 광대나물은 꿀풀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이다. 학명은 Lamium amplexicaule L.  유라시아가 원산이지만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라는 귀화식물이다. 일본,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 중앙아시아, 유럽, 북아프리카 등 세계 여러 곳에 분포한다.농부들에겐 잡초 취급을 받는다. 그러나 이른 봄 어린순은 나물로도 먹고, 한 여름 전초는 약용으로 쓰는 쓸모 있는 식물이다. ▼ 광대나물 자세히 알기광대나물꽃, 화사한 보랏빛.. 2024. 4. 18.
자리공 장녹 장록나물, 독초와 약초 사이 | 뿌리 효능 살충제 작년 4월 이맘때 심심토 밭에서 자리공을 만났다. 당시만 해도 이것이 나물로 먹을 수 있는 것인 줄 몰랐다. 자리공을 나물로 먹을 때 장녹, 장록나물이라 한다는 걸 최근에야 알았다. 또한 독초이면서도 약초인 것도 알게 되었다. 자리공, 장녹나물의 두 얼굴 살펴본다.   자리공의 두 얼굴 자리공에 대해 대뜸 '두 얼굴'이라고 하는 것은 많은 잡초들이 독성과 약성을 함께 갖고 있지만, 자리공만큼 의견이 갈리는 식물도 드물지 싶기 때문이다. 으뜸가는 식재료로 치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독성에 대해 경고하는 의견 또한 만만치 않다. 나물로서의 자리공, 장녹나물자리공은 야산이나 들에 4, 5월에 올라오는데, 보는 눈에도 강한 생명력이 느껴지는 식물이다. 여기저기 지천으로 땅을 뚫고 올라올 뿐만 아니라 몸집 또한 우.. 2024. 4.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