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토56

야생에서 두릅 개두릅 엄나무순 음나무순 차이 구별하는 법 | 포토 봄철 기운 돋우는 나물로 두릅 개두릅 엄나무순 음나무순만 한 것이 없습니다. 용어가 산만한데, 여기서 개두릅은 엄나무순을 강원도에서 부르는 말입니다. 또한 음나무는 엄나무의 다른 이름(이칭)입니다. 결국 두릅과 엄나무순의 차이, 구별이 되겠습니다. 집 주변에 있거나 재배하고 있는 경우에는 알고 있으니 문제 될 게 없지만, 야생에서 만났을 경우 두릅인지 엄나무순인지 자칫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몇 장의 사진을 통해 완벽히 구별해 보겠습니다. ✅목차두릅나무 포토엄나무(음나무)순 개두릅 포토두릅과 엄나무순 차이, 구별법두릅과 엄나무순 구별 테스트   두릅나무 포토 먼저 두릅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마트에서 쉬 만날 수 있는 두릅순이지만 나무가 어떻게 생겼는지는 모를 수 있는데, 이렇게 생겼습니다. 아, .. 2024. 4. 25.
수면에 좋은 쥐오줌풀 길초근 발레리안루트, 그러나 독성 부작용 알고 먹자 작년 5월, 강원도 산에서 쥐오줌풀을 만난 이래 쥐오줌풀의 효능에 반해 쥐오줌풀(한약명 길초근, 영어명 발레리안 루트)에 대해 집중 공부하고 있다. 진정작용 신경안정작용이 뛰어나 불면증, 수면 숙면에 좋은 쥐오줌풀 뿌리, 그러나 국립수목원 자료에 의하면 독성 또한 만만치 않음을 알 수 있다. 약성과 독성은 종잇장의 앞뒷면 같은 것이다. 그렇기에 효능과 약성을 보기 위해서는 독성에 대한 지식 또한 꼭 필요한 것이다.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이번 포스팅은 쥐오줌풀이 갖고 있는 독성에 대한 글이다. 내용은 국립수목원 자료를 토대로 한다. 쥐오줌풀의 생태, 약성과 효능, 출시 제품에 대한 내용은 아래 글들을 참고하기 바.. 2024. 4. 24.
병꽃나무, 꽃도 좋고 약성도 좋고! | 포토 & 효능 작년 5월 함양, 지리산 가는 길 오도재에서 병꽃나무꽃을 만났다. 차를 오도재 주차장 세우고 주변을 탐방하던 중, 한창 피어나고 있는 야생 병꽃나무 무리를 보았다. 무척 아름다웠다. 그 병꽃나무가 약성 또한 있다 하니, 오늘은 병꽃나무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병꽃나무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꼭두서니목 인동과 병꽃나무속의 낙엽관목으로 주로 산지 숲 속에서 자란다.학명 : Weigela subsessilis L.H.Bailey목 : 꼭두서니목(Rubiales)과 : 인동과(Caprifoliaceae)속 : 병꽃나무속(Weigela)원산지 : 한국 특산으로 국외반출 승인대상종이다.분포지 : 한국자생지 : 산지생약명 : 고려양로(高麗楊櫨)이명 : 팟꽃나무크기 : 높이 2~3m꽃말 : 전설 ✅ 참고 : .. 2024. 4. 22.
박새는 나물 아닌 독초, 독성식물 구별법 | 포토 4월 5월, 여기저기 산나물이 올라오기 시작할 때 조심해야 할 식물 하나가 있다. 바로 박새(나물)이다. (여기서 '나물'이라고 한 것은 조류 '박새'와 구분하기 위함)박새는 산마늘(명이나물)과 비슷하게 생겨 헷갈리기 쉬운 식물로 나물 아닌 독초, 독성식물이다. 때문에 박새는 약재로 쓰이는 것은 별도로 하고, 나물로서의 섭취는 삼가야 한다. 국립수목원 자료를 토대로 박새의 독성과 중독 사례를 살펴본다.   ✅ 목차1. 박새2. 박새의 특징 및 생태3. 박새의 독성    독성부위    독성물질    중독증상    중독사례    유사식용식물4. 마치며 박새  박새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 여로속의 여러해살이풀로 깊은 산 습지에서 군락을 지어 자란다. 식물체에 강한 독성이 있으며 뿌리는 최토(催吐)·살충제로.. 2024.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