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토/농작물16

머위꽃과 관동화는 다른 꽃이다?! 머위 연구(?)를 하다 보니 머위꽃을 관동화라고도 부르며 약재로 쓰인다는 자료를 접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미지나 기타 자료를 취합해 나갈수록 신뢰가 가지 않는 면이 있었습니다. 하여 심층연구에 돌입, 결론은 '머위꽃과 관동화는 다른 꽃이다!’ 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그 근거를 살펴봅니다. 올봄에 머위꽃을 볼 수 있을까? 지난달에 머위에 대해 자세한 조사를 마쳤던 터라, 올봄 3월 하순쯤 머위 뿌리 분주를 위해 심심토에 다녀올 생각입니다. 잎 보다 이른 시기라, 어쩌면 그동안 눈여겨보지 않았던 머위꽃을 볼 수 있을 것 같은 기대에 머위꽃에 관심 갖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머위공부를 할 때 느낀 것이기도 하지만, 머위를 관동이라 하고 머위꽃을 관동화라 한다는 정보에는 뭔가 신뢰가 가지 않는 면이 있었습니다. .. 2023. 3. 8.
섬쑥부쟁이, 부지깽이(부지갱이)나물 특성과 재배법 여러해살이풀, 다년생초, 잘 자라고 번식 잘하고 맛도 좋고 영양도 좋다는 섬쑥부쟁이, 부지깽이(부지갱이)나물, 키도 1m 내외까지 자라니 첫 해 활착만 잘하면 잡초를 이길 것도 같고…. ‘먼 곳 사는 초보 농부’가 선택한 두 번째 작물. 공부 시작해 봅니다. 섬쑥부쟁이 학명 Aster pseudoglehnii Y.S.Lim, Hyun & H.Shin 분류(과명) 국화과 생물학적 분류 문 : 피자(속씨)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초롱꽃목(Campanulales) 과 : 국화과(Compositae) 속 : 참취속(Aster) 특성요약 형태 : 여러해살이풀 번식 : 씨 뿌리기, 포기나누기, 모종 재배 시기 : 봄, 여름, 가을 분포지역 : .. 2023. 3. 7.
섬쑥부쟁이, 부지깽이 나물을 심어 볼까나? 거리가 멀어 자주 가지 못하는 심심토, 보살피지 않아도 잘 자라는 작물이어야 하는데, 무얼 심을까? 고민하다 먼저 떠오른 것이 머위였다. 머위는 그곳의 자생식물이기도 한데, 올봄에 분주(포기나누기)를 해서 더욱 퍼뜨릴 생각이다. 이어 양지바른 밭에는 섬쑥부쟁이(부지깽이나물)를 심을까 생각하고 있다. [관련글] 머위 재배를 해볼까나 머위 재배를 해볼까나 작년에 지리산 심심토에서 머위를 많이 채취했었다 머위는 예전에 봄이면 엄마가 해주는 것 한 두 번 접했으나 어린 입에 쓴 것이 맞지 않아, 더구나 우리 시골은 산지도 아니어서 귀했던 터라 simsimto.tistory.com 머위꽃을 볼 수 있을까? 3월 하순쯤, 심심토에 다녀올 생각이다. 머위 뿌리 포기나누기를 해줄 생각인데, 어쩌면 운 좋게 머위꽃을 볼.. 2023. 3. 7.
머위, 머윗대, 머위뿌리의 영양성분, 효능,부작용 산야초든 재배초든, 동물이든 식물이든, 효능이나 약성에 대해 말한다는 것은 사실 어려운 일입니다. 따라서 본 포스팅은 항간에 회자되는 효능을 수집해 언급할 뿐임을 밝히며, 다행히 서양에서는 머위(butterbur)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그 내용 또한 첨부하고자 합니다. 머위의 영양 성분과 효능에 관한 백과사전, 관계기관의 자료 머위는 비타민 A를 비롯하여, 비타민 B1, B2와 칼슘, 섬유질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이며, 항산화, 항알레르기 효과가 있는 폴리페놀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꽃봉오리에는 쓴 맛을 내는 페차시틴, 이소페타신, 퀘세틴, 캠퍼롤이 있으며, 잎에는 플라보노이드, 트리테르펜, 사포닌 등 많은 특수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잎> 줄기> 뿌리, 꽃 순으로 농도가 .. 2023.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