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1

산불진화 산림 경영을 위해 '임도 개설'은 반드시 필요 산불재난을 맞아 임도 개설에 대한 필요성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임도는 산불 진화에서도 요긴하지만 산림경영, 개발의 차원에서도 절실한데, 그러나 과거 '산림녹화'에 대한 그릇된 고정관념 때문일까요? 우리 현실은 임도 개설조차 산림에 대한 훼손으로 보는 시각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임도 개설의 필요성   우리나라는 국토의 약 63%가 산림으로 이루어진 산림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산림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호하기 위한 기본 인프라인 임도의 개설은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부족한 실정입니다. 우리의 산림은 그동안 그야말로 '보존'에 집착한 나머지 개발은 뒷전, 방치돼 있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산주들은 제 산이지만 나무 한 그루 마음대로 벨 수 없었고, 꼬박꼬박 세금만 낼뿐, 이렇다 할 소득창출도 .. 2025. 3. 30.
강원도 고랭지 메밀 재배를 자연농법으로 | 종류 효능 추천품종 재배법 강원도 고랭지, 바람 많은 환경에서 메밀을 재배하려고 합니다. 적합한지 알아보고 적절한 품종 선택과 재배법 또한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은 고랭지 메밀 재배의 적합성, 메밀 품종 정보와 추천, 그리고 자연농법 기반의 손농사 재배법에 관한 글입니다.  고랭지 메밀 재배의 적합성강원도 고랭지는 전통적으로 메밀 재배에 적합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척박하고 서늘한 땅에서 잘 자라는 메밀은 특히 산간지방이 많은 강원도 지역에서 주로 재배됐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강원도는 메밀 생산량이 전국 생산량의 14% 정도로 전국 3위 규모를 차지하며, 척박한 토질 때문에 쌀보다 메밀, 옥수수, 감자 등 구황작물을 많이 재배합니다.고랭지 농업에 대한 정보에 따르면, "일반 작물의 고랭지 재배는 메밀을 들 수 있.. 2025. 3. 29.
2025년도 임업·산림 공익직접지불금 종합 안내 | 신청기간 자격 지급대상 거주요건 지급액 제출서류 2025년도 임업직불금 신청기간이 돌아왔습니다. 임업·산림 공익직접지불금(이하 "임업직불금") 등록신청 관련, 신청기간, 자격, 지급대상, 거주요건, 지급액 산출법, 제출서류 등 주요 내용을 임가 입장에서 정리해 봅니다.     임업직불제의 취지 및 개요  임업직불금은 「임업·산림 공익기능 증진을 위한 직접지불제도 운영에 관한 법률」(이하 "임업직불제법")에 따라 운영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임업과 산림의 공익적 기능을 증진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자격 요건을 갖추고 실제로 임업에 종사하는 임업인 등에게 보조금을 지급합니다. 2019년 4월 1일부터 2022년 9월 30일까지 임업경영체에 등록된 산지를 대상으로 하며, 임업인의 안정적인 경영 환경을 조성하여 산림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지원하는 것이 목적.. 2025. 3. 28.
고은찰, 항산화 성분 풍부한 고기능성 찰수수 신품종, 심어볼까나? 강원도 고랭지, 바람도 제법 있는 곳에 심을 수수를 고민하던 중, 고은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에 그간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고은찰 수수에 대해 공유합니다.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슈퍼푸드, 고기능성 찰수수 신품종 고은찰 주요 특성과 영양성분, 효능효과, 재배법, 종자주문까지 풀 공유합니다.   찰수수 메수수 특징과 품종별 키 비교  신품종 찰수수 '고은찰' '고은찰'은 최근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신품종 찰수수입니다. '고은찰'은 기존 소담찰에 비해 수확량이 풍부하고 항산화 및 항비만 효과가 뛰어나며 재배관리가 용이한 획기적인 품종입니다.이 품종은 2022년에 개발되어 기존 품종보다 우수한 농업적 특성과 기능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고은찰은 키가 작고 도복에 강하며 기계수확에 용이할 뿐 아니라, 병해 저항성과 .. 2025.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