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토/산야초

광대나물은 잡초 아닌 약초, 보개초 효능, 약용 식용법 | 포토

by 심심토 2024. 4. 18.

이른 봄, 밭둑이나 길가에서 군락을 이루며 피어나는 자줏빛, 보랏빛 꽃 광대나물을 본 적 있는지? 마른땅에서 피어나 봄을 부르는 전령사처럼 화사한데, 그런데 이 잡초가 꽃만 화사한 게 아니라 약효도 좋다 한다. 보개초, 접골초라고도 부르는 광대나물의 약성, 효능 알아본다.

 

 

광대나물

 

광대나물은 꿀풀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이다. 학명은 Lamium amplexicaule L.

 

광대나물꽃
사진은 4월 심심토 밭가에서 담은 광대나물꽃. 꽃이 아름답다.

 

유라시아가 원산이지만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라는 귀화식물이다. 일본,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 중앙아시아, 유럽, 북아프리카 등 세계 여러 곳에 분포한다.
농부들에겐 잡초 취급을 받는다. 그러나 이른 봄 어린순은 나물로도 먹고, 한 여름 전초는 약용으로 쓰는 쓸모 있는 식물이다.

 

▼ 광대나물 자세히 알기

광대나물꽃, 화사한 보랏빛 융단을 깔아 놓다

 

 

한방에서는 보개초, 접골초

 

광대나물은 한방에서 보개초(寶蓋草)라 하여 약용으로 쓴다. 그 모양이 불상이나 불탑 위의 덮개를 닮았다 하여 '보개'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한편 뼈를 잘 붙게 하고 뼈를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어 '접골초'라고도 한다. 모름지기 광대나물은 잡초가 아니라 약초인 것이다.


그 외 광대나물은 풍(風)을 없애고, 경락(經絡)을 잘 통하게 하고, 종기를 삭이고 통증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지혈작용도 뛰어나 외상을 입었을 때 광대나물 잎과 줄기를 찧어 붙이면 피가 멎는다고 한다. 신경통이나 근육통에도 효험이 있다 하니, 이쯤이면 팔방미인? 꽃만 예쁜 게 아니라 약효도 많다. 여름에 전초를 채취해 말려두었다 사용하면 된다.

 

광대나물 약성

 

광대나물의 잎에는 다양한 약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라미노사이드, 라미이데, 라미올 등 이리도이드 글리코사이드(Iridoid glycoside)가 그것이다. 광대나물에 함유되어 있는 iridoid, lamiide, lamiol 약성에 대해 살펴본다.

 

광대나물꽃
온통 보랏빛 융단을 펼쳐놓은 것처럼, 이름 봄 화사하게 피어난 광대나물꽃

이리도이드(iridoid)

이리도이드는 식물이 외부의 공격을 받으면 방어와 상처 치유 및 재생을 위해 만들어내는 파이토케미컬 물질 중 하나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열대 식물 '노니' 속에 특히 많이 함유돼 있다.


상처를 보호하고 회복시키는 천연 식물성 화각성분으로, 손상 부위의 관리를 도와준다. 항염, 면역 조절, 항암, 항균 및 항진균, 항산화, 심혈관계 보호, 간 보호, 신경 보호, 진경, 담즙분비 촉진, 혈당 감소, 지질 감소, 배변 촉진 등 사람의 건강과 연관된 잠정적인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어 있으며, 한편 이리도이드는 LDL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남성 불임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도 사용된다.

 

 

✅ LDL

LDL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을 말한다.
LDL은 지단백질 중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고, 혈관 벽에 침착되는 성질로 인해 동맥경화증과 심장질환을 일으켜 일명 '나쁜 콜레스테롤'로 불린다. (콜레스테롤에 대해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글 참고)

 

 

▶콜레스테롤 얼마나 알고 있니?

 

라미이드(lamiide, 라미이데)

라미이드는 부체아 플루미넨시스(Bouchea fluminensis. 브라질, 볼리비아 등지에서 자라는 마편초과 약초) 잎에서 발견되는 경구 활성 이리도이드 화합물이다. Lamiide는 항염증 및 항지질과산화 작용을 한다. Lamiide는 카라기닌 유도 발바닥 부종 검사에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며, 랫트 뇌 인지질 과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미올(Lamiol)

라미올은 광대나물에 함유된 성분으로 광대나물의 대표적인 약효인 거풍(祛風), 통락(通絡), 소종(消腫) 등에 관여한다고 한다.

 

광대나물 식용 & 약용법

 

식용법

이른 봄 어린싹을 캐어 나물로 무쳐 먹는다. 맵고 쓴맛이 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데친 후 찬물에 오래 우려낸 후, 사용한다.

 

약용법

광대나물의 생약명은 보개초(寶蓋草)다. 등룡초(燈龍草), 연전초(連錢草), 풍잔(風盞)이라고도 한다. 모든 부분을 약재로 쓰는데, 초여름에 채취해 생풀로 쓰거나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한방에서의 광대나물 약효는 풍을 없애주며 진통과 소종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경통, 관절염, 손발이 굳어 감각이 없어지는데, 반신불수, 인후염, 결핵성임파선염 등에 쓴다. 그 외 지혈제로도 사용한다.


용법은 생즙을 복용하거나, 말린 약재를 썰어 1회에 5~10g씩 200cc의 물로 달여 복용한다. 지혈제로 쓸 때는 생풀을 짓찧어 환부에 붙여 사용한다.

 

마치며

 

광대복장과 비슷하다 하여 이름도 우스운 광대나물, 그러나 잡초로만 보기엔 만만치 않아 보인다.
일본에서는 음력 1월 7일에 7가지 나물로 죽을 쑤어먹는 풍습이 있다고 하는데, 이른바 일곱 가지나물죽이라 하여 '칠초죽(七草粥, 나나쿠사카유)'이라고 한다. 여기에는 미나리, 냉이, 떡쑥, 별꽃, 순무, 무와 함께 광대나물이 들어간다고 한다.
이 풍습은 우리나라에서 정월 대보름에 나물을 먹는 풍습과 비슷해 보인다. 광대나물이 비록 우리나라에선 잡초 취급을 받지만 그래도 '나물'자 이름을 달고 있고, 일본에서는 어엿하게 '칠초죽' 명단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거기다 광대나물은 '보개초' '접골초'로 불리며 약용으로도 요긴한 풀이다. 광대나물 새삼 달리 보인다.

 

함께 보면 좋은 글

 

[3월 4월의 봄꽃] 광대나물꽃, 화사한 보랏빛 융단을 깔아 놓다

 

[3월 4월의 봄꽃] 광대나물꽃, 화사한 보랏빛 융단을 깔아 놓다 | 포토

3월 하순, 심심토 밭둑이 화사하다. 보랏빛 융단이 깔렸다. "이, 화사한 것이 무엇인고?" 꽃은 바로 광대나물꽃이다. 광대 복장과 비슷하다 하여 광대나물~ 꽃 모양이 코딱지 같다 하여 코딱지 나

simsimto.tistory.com

첩첩산중 각시붓꽃, 누굴 기다리나? | 포토

 

첩첩산중 각시붓꽃, 누굴 기다리나? | 포토

강원도 강릉과 정선의 경계에 노추산이 있다. 노추산은 노추산 모정탑으로 유명한데, 3천 개의 돌탑엔 노모의 자식사랑이 깃들어 있다. 그 노추산 오르는 길에서 각시붓꽃을 만났다. 처음 봤을

wildplant.tistory.com

자리공 장녹 장록나물, 독초와 약초 사이 | 뿌리 효능 살충제

 

자리공 장녹 장록나물, 독초와 약초 사이 | 뿌리 효능 살충제

작년 4월 이맘때 심심토 밭에서 자리공을 만났다. 당시만 해도 이것이 나물로 먹을 수 있는 것인 줄 몰랐다. 자리공을 나물로 먹을 때 장녹, 장록나물이라 한다는 걸 최근에야 알았다. 또한 독초

simsimto.tistory.com

잡초의 쓸모 : 잡초냐 vs. 약초냐

 

잡초의 쓸모 : 잡초냐 vs. 약초냐

농사를 시작하면서, 산야초에 관심을 가지면서 '잡초'에 대해서도 관심 갖게 되었다. 나물로서, 그리고 약성으로서 '풀'을 접근하게 되는 것이다. 그 풀들을 어떻게 좀 먹어 볼 수 없을까? 궁리하

simsimto.tistory.com

버드나무 꽃가루? 알레르기 주범 아니다, 꽃과 씨 구별하기 | 포토

 

버드나무 꽃가루? 알레르기 주범 아니다, 꽃과 씨 구별하기 | 포토

4월 말, 5월쯤 되면 여기저기 풀풀 날리는 버드나무 솜뭉치들을 볼 수 있다. 이른바 알레르기의 주범으로 찍힌 버드나무 꽃가루다. 하지만 이 솜뭉치들은 버드나무 꽃가루가 아니다. 씨앗이다.

simsimto.tistory.com

[엉겅퀴 효능] 밀크씨슬 흰무늬엉겅퀴의 실리마린-간 기능 개선 효과

 

[엉겅퀴 효능] 밀크씨슬 흰무늬엉겅퀴의 실리마린-간 기능 개선 효과

엉겅퀴에 대한 효능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몇 가지 자료를 토대로, 실리마린을 함유한 밀크씨슬(흰무늬엉겅퀴)의 간 기능 개선효과뿐만 아니라, 우리 자생 엉겅퀴들이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simsimto.tistory.com

엉겅퀴 효능 효과, 지느러미엉겅퀴 '귀하신 몸 이제야 알아보네!'

 

엉겅퀴 효능 효과, 지느러미엉겅퀴 '귀하신 몸 이제야 알아보네!' | 실리마린

잡초가 나물이 되고, 잡초가 약초가 된다. 먹는 것이 곧 약이 된다. 밀크씨슬이니 실리마린이니 엉겅퀴에 대한 효능들이 부각되고 있는 요즘, 무심코 넘겼던 엉겅퀴에 굉장한 약성이 있음을 알

simsimto.tistory.com

이 예쁜 것이 어찌 쥐오줌풀? _쥐오줌풀의 뛰어난 효능

 

이 예쁜 것이 어찌 쥐오줌풀? _쥐오줌풀의 뛰어난 효능

쥐오줌 냄새가 난다고 해서 쥐오줌풀, 그러나 꽃은 곱기만 합니다. 더구나 나물로도 먹고 약재로도 뛰어난 효능을 가진 기특한 산야초입니다. 4월 말 산지에서 만났던 쥐오줌풀 알아봅니다. [ 목

simsimto.tistory.com

여우오줌풀(담배풀)과는 다른, 여우오줌(왕담배풀)의 생태와 효능

 

여우오줌풀(담배풀)과는 다른, 여우오줌(왕담배풀)의 생태와 효능

얼마 전 강원도 산지에서 여우오줌을 만났습니다. 진짜 여우의 오줌이 아니라 '왕담배풀'이라고도 불리는 야생초 '여우오줌'입니다. 이름도 특이한 여우오줌, 왕담배풀의 생태와 효능 살펴봅니

simsimto.tistory.com

꽃도 좋고 약재로도 좋은, 골담초 효능과 포토

 

꽃도 좋고 약재로도 좋은, 골담초 효능과 포토

골담초, 이름도 특이합니다. '뼈는 내가 담당한다'라고 큰소리치는 식물입니다. 꽃도 예쁘고 약재로서도 훌륭한 5월의 꽃, 골담초 만나 봅니다. ◈ 목차 ◈ 1. 골담초 개요 2. 특징 및 생태 줄기 뿌

simsimto.tistory.com

독성식물과 독성물질

 

독성식물과 독성물질

산나물, 산야초 공부를 할 때 만나게 되는 것이 독초, 독성식물입니다. 이는 식용이나 약용이냐에 따라 다르고, 또 같은 식용이라 하여도 날 것으로 먹느냐, 익혀 먹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정확히

simsimto.tistory.com

나물 이름 독초, 독성식물 8가지_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

 

나물 이름 독초, 독성식물 8가지_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

산나물은 자연이 주는 선물이지만 제대로 알지 못하고 채취할 경우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 식약처와 산림청에서도 독초를 산나물로 오인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당부한 바 있는데, 특

simsimto.tistory.com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세요 _ 박새, 여로, 원추리, 산마늘의 구별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세요 _ 박새, 여로, 원추리, 산마늘의 구별

산나물철이 왔습니다. 산나물과 독초의 정확한 구별이 필요한 때입니다. 식용나물인 원추리와 산마늘, 그리고 독초인 박새와 여로, 언뜻 구별하기 쉽지 않은 면이 있어 정리해 봅니다. 원추리

simsimto.tistory.com

‘삿갓나물은 나물이 아닌 독초’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_우산나물과 삿갓나물

 

‘삿갓나물은 나물이 아닌 독초’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_우산나물과 삿갓나물

삿갓나물은 무늬만 나물입니다. 이름에 ‘나물’ 자가 들어 있으니 식용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삿갓나물은 독초입니다. 더구나 생긴 것도 우산나물과 비슷하고, 올라오는 시기도 비슷해 특별한

simsimto.tistory.com

머위와 닮은 식물들, 곰취, 곤달비, 털머위, 동의나물과 구별하기

 

머위와 닮은 식물들, 곰취, 곤달비, 털머위, 동의나물과 구별하기

자기 땅, 예컨대 밭 가나 집 주변에 있는 머위에 대해서는 따로 구별 절차 없이도 머위인 줄 알지만, 야생에서 머위를 만날 경우 비슷한 것들 중에는 독성 있는 것들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구별

simsimto.tistory.com

알리움 종류와 특징, 키우는 법 & 포토

 

알리움 종류와 특징, 키우는 법 & 포토

언제부턴가 여기저기 정원과 화단에서 눈길을 끌기 시작하는 꽃이 있다. 동그란 것이 파꽃 같기도 하고 부추꽃 같기도 하고... 바로 파속 마늘꽃 알리움이다. 농촌진흥청에 좋은 자료가 있어 모

wildplant.tistory.com

5월의 야생, 꽃 색깔이 변하는 병꽃나무

 

5월의 야생, 꽃 색깔이 변하는 병꽃나무

병꽃나무는 인동과에 속하는 관목류로 5월에 꽃이 피어, 초록 일색으로 변하는 숲을 환하게 밝혀주는 꽃입니다. 햇빛을 충분히 받지 못하는 척박한 곳에서도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는 강인한 꽃

wildplant.tistory.com


참고자료 : 몸에 좋은 산야초 | 약업신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