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추니, 경칩이니 하는 말들, 어렴풋이 24 절기라는 것은 안다. 하지만 이것이 양력인지, 음력인지 물어보면 제대로 답하는 사람이 드뭅니다. 한자이고 또 음력이 표기되는 달력에나 나오는 말입니다 보니 막연히 음력으로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그 24절기, 알아봅니다.
24절기, 양력일까? 음력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24절기는 양력개념입니다.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1년을 24개로 나눈 것으로 황도 춘분점을 기점으로 15° 간격으로 총 24개의 절기가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즉 이는 태양의 황경에 맞추어 1년을 15일 간격으로 24 등분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태양의 황경이 0°인 날을 춘분으로 하고, 15° 간격으로 24개가 생성되는 것입니다.
이때 각 구간마다 기후를 나타내는 용어를 하나씩 붙였는데, 이것이 바로 절기(節氣)입니다. 따라서 24절기는 태양이 각 점을 지나는 시기를 말하는 것이라 보면 됩니다. 예컨대 태양이 0° 지점을 지나면 춘분, 15° 지점을 통과하면 청명, 90° 지점을 지나면 하지, 180°면 추분, 270°면 동지 식으로 말입니다.
24절기는 다시 12절기와 12 중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때 ‘절기’는 월초(月初)에 해당하는 것으로 매월 4-8일 사이가 되고, ‘중기’는 월중(月中)에 해당되는 것으로 매월 19일-23일 사이가 됩니다. 절기의 날짜에 오차가 있는 것은 지구의 공전주기와 관련해 1년이 365일과 366일로 차이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24절기의 유래
24절기는 고대 중국 주나라 때 만들어졌습니다. 당시 동아시아권에서는 태음력을 사용했지만 음력은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일어나는 기후의 변화를 반영할 수가 없어 농사를 짓는데 매우 불편하였습니다. 하여 중국에서는 천문학에 기초해 황하 유역을 기준으로 태양의 공전주기를 15도씩 24 등분한 24절기를 만들어 농사를 짓는 데 사용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충렬왕 시기에 도입돼 이후부터 농사를 짓는데 널리 사용됐고 24절기는 일본, 베트남에서도 쓰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24절기가 중국, 그것도 베이징과 화북 지방의 기후에 맞춘 것이기 때문에 한반도의 실정과는 차이가 나는 부분이 있습니다. 막상 ‘입춘’이라 하여도 우리가 봄을 실감하기 어려운 것처럼 말입니다.
24절기,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
2016년, 동아시아 지역에서 쓰이는 24절기가 중국의 신청으로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등재됐습니다.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 정부 간 위원회 제11차 회의에서 중국이 신청한 24절기가 심의를 통과해 인류 무형 문화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이에 중국은 24절기를 "중국인이 태양의 주기 운동을 관찰해 연중 계절, 기후, 만물의 변화규칙을 파악해 만든 지식체계이자 사회실천"이라고 소개하며 국제 기상학계가 이 역학 체계에 '중국의 5대 발명품'이라는 칭호를 줬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 주(周)나라 시기 화북지방에서 태양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해를 24기로 나눈 24절기는 2월 초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立春)을 시작으로 우수(雨水) 경칩(驚蟄) 춘분(春分) 청명(淸明) 곡우(穀雨) 입하(立夏) 소만(小滿) 망종(芒種) 하지(夏至) 소서(小暑) 대서(大暑) 입추(立秋) 처서(處暑) 백로(白露) 추분(秋分) 한로(寒露) 상강(霜降) 입동(立冬) 소설(小雪) 대설(大雪) 동지(冬至) 소한(小寒) 대한(大寒)으로 이어집니다.
24절기 계절별 날짜와 뜻 살펴보기
봄(2월~4월)
입춘(立春)
양력 2월 4~5일경으로 봄의 시작되는 날
우수(雨水)
양력 2월 19~20일경으로 날씨가 풀리고 봄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때. 눈이 비로 변하고 얼음이 녹아 물이 되는 때.
경칩(驚蟄)
양력 3월 5~6일경으로 겨울잠을 자던 벌레, 개구리 등 동물이 깨어나는 때.
춘분(春分
양력 3월 21~22일경으로 태양이 춘분점에 이름,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는 때. 이때부터 낮이 더 길어짐.
청명(淸明)
양력 4월 5~6일경으로 봄이 되어 삼라만상이 맑고 밝으며 화창해 나무를 심기에 적당한 시기. 봄 농사를 준비하는 때.
곡우(穀雨)
양력 4월 20~21일경으로 봄비가 내려 온갖 곡식이 윤택해지는 때
여름(5월~7월)
입하(立夏)
양력 5월 6~7일경으로 여름이 시작되는 때
소만(小滿)
양력 5월 21~22일경으로 만물이 점차 생장(生長)하여 가득 차는 때
망종(芒種)
양력 6월 6~7일경으로 보리가 익어 먹게 되고 모를 심는 때
하지(夏至)
양력 6월 21~22일경으로 북반구에서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을 때
소서(小暑)
양력 7월 7~8일경으로 차츰 무더위가 시작되는 때
대서(大暑)
양력 7월 23~24일경으로 1년 중 가장 무더운 시기. 대부분 중복이 겹침.
가을(8월~10월)
입추(立秋)
양력 8월 8~9일경으로 가을이 시작되는 때
처서(處暑)
양력 8월 23~24일경으로 더위가 그친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
백로(白露)
양력 9월 8~9일경으로 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때. 이슬 맺힌 것이 하얗게 보인다는 뜻에서 백로.
추분(秋分)
양력 9월 23~24일경으로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는 때. 이때부터 밤이 더 길어짐.
한로(寒露)
양력 10월 8~9일경으로 찬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때
상강(霜降)
양력 10월 23~24일경으로 밤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때
겨울(11월~1월)
입동(立冬)
양력 11월 7~8일경으로 겨울이 시작되는 때
소설(小雪)
양력 11월 22~23일경으로 첫눈이 내리는 때
대설(大雪)
양력 12월 7~8일경으로 눈이 가장 많이 내린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
동지(冬至)
양력 12월 22~23일경으로 1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
소한(小寒)
양력 1월 6~7일경으로 ‘작은 추위’라는 뜻의 절기. 그러나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옛 말이 있듯이 한국에서는 1년 중 가장 추움.
대한(大寒)
양력 1월 20~21일경으로 ‘큰 추위’라는 뜻의 절기이나, 한국에서는 소한에 얼었던 얼음이 대한에 녹을 정도로 따뜻할 때도 있음.
24절기를 마치며
초보농사꾼, 농사 시작하려고 보니 절기에도 관심이 갑니다. 그동안 막연히 음력이겠거니 알고 있었던 24절기, 양력임을 알게 돼서 놀라진 않았는지요? 음력을 근간으로 했던 옛날에도 '농사에는 태양이 중요했던 만큼, 농사와 관련된 24절기는 양력을 기반으로 한다', 이렇게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4절기가 대체 뭐길래? 간단 요약본, 한번에 이해하기
24절기와 농사속담
농사 24절기, 여전히 훈훈한 농사지침
훈훈한 농사속담 _ <봄> 편
나물 이름 독초, 독성식물 8가지_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세요 _ 박새, 여로, 원추리, 산마늘의 구별
'동의나물은 산나물이 아닌 독초'_ 머위, 곰취, 동의나물 구별하기
여우오줌풀(담배풀)과는 다른, 여우오줌(왕담배풀)의 생태와 효능
꽃도 좋고 약재로도 좋은, 골담초 효능과 포토
참고사이트 : 네이버지식백과 | 위키백과 | 농어촌알리미
'잡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훈훈한 농사속담 _ <봄> 편 (0) | 2023.03.15 |
---|---|
24절기와 농사속담 (0) | 2023.03.10 |
24절기가 대체 뭐길래? 간단 요약본, 한번에 이해하기 (0) | 2023.03.10 |
농사 24절기, 여전히 훈훈한 농사지침 (0) | 2023.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