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토/산야초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세요 _ 박새, 여로, 원추리, 산마늘의 구별

by 심심토 2023. 4. 27.

산나물철이 왔습니다. 산나물과 독초의 정확한 구별이 필요한 때입니다. 식용나물인 원추리와 산마늘, 그리고 독초인 박새와 여로, 언뜻 구별하기 쉽지 않은 면이 있어 정리해 봅니다.

 

 

원추리

식용나물


원추리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대표적이 봄철 나물 중 하나입니다.
맛이 달아 데쳐놓으면 부드러운 식감과 함께 아주 먹기 좋은 나물입니다.
꽃 또한 아름다워 초여름에 긴 대를 올려 아름다운 연주황빛(짙은 노랑)의 꽃을 피우면 주변이 온통 환해지는 듯합니다. 지리산 노고단은 원추리 군락지로 유명한 곳이기도 합니다.

원추리는 근심걱정을 없애준다 하여 망우초라고도 합니다. 독초인 여로, 혹은 박새와도 생김새가 비슷해 산에서 채취할 경우, 조심해야 합니다.

파릇하니 돋아나고 있는 원추리사진
원추리(출처:한국임업진흥원)

 

산마늘

식용나물


산마늘 역시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일명 명이나물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울릉도에서 춘궁기에 '목숨을 이어주던 나물'이라는 데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지금은 강원도 등 산지에서 대대적으로 재배하기도 하지만, 여전히 산마늘은 울릉도 특삼품입니다. 울릉도산은 잎이 넓고 둥근 반면, 강원도산은 잎이 길고 좁아 차이가 있습니다.

산마늘, 명이나물은 나물에서 마늘향이 날 뿐 아니라 실제로 마늘의 주성분인 '알리신'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고기에 곁들이면 아주 좋습니다. 하지만 5월 지나 꽃이 피면서부터는 맛이 써지기 때문이 이른 봄 한 철 채취할 수 있는 탓에 주로 장아찌로 담아 먹습니다.

꽃대를 올리고 있는 산마늘(촬영일자 2023. 04.23. 경상남도) _ 작년에 식재하였던 산마늘에서 벌써 꽃대를 올리고 있습니다_ⓒ심심토

 

 

박새

독초


박새 역시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하지만 이른 독초입니다.
'박새' 라는 이름의 새가 있는데, 아주 작고 귀여운 새지요. 이름이 같아 재미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식물 박새는 깊은 산 습지에서 무리 지어 자랍니다. 독성이 강해 살충제로 사용하기도 한다는데, 봄나물 산행에 있어 원추리, 산마늘과 잘 구별하여야 할 것입니다.

파릇하게 돋아나는 박새사진
박새(출처:식품의약안전처)

 

여로

독초


여로 또한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뿌리줄기를 농약으로 사용할 정도로 강한 독성이 있는 풀입니다. 민간에서는 이 독성을 이용해 약용하기도 하는데, 늑막염에 최토작용을 일으켜 농즙을 토해내게 해 '늑막풀'이라고도 합니다.

약성과 독성의 경계는 미묘한 것입니다. 식용 나물과는 별개의 영역으로 보는 게 좋습니다.
식용해서는 안 되는 식물로 원추리, 산마늘과 유사해 주의가 필요합니다.

파릇하게 돋아 있는 여로식물사진
여로(출처:위키미디어)

 

산마늘과 원추리와 여로와 박새의 비교


산나물과 독초, 비교 사진 한 번 더 올립니다. 산마늘은 비교적 구별이 쉬우나, 원추리와 여로, 박새는 언뜻 구별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 주의가 필요합니다.
개인적 소견을 보탠다면 박새는 우람한 모양으로 차별되고, 원추리는 잎이 도톰하고 보드라운 느낌인 반면, 여로는 잎이 얇고 골진 모양으로 차별됩니다.

 

여로 식물사진박새 식물사진
여로(출처:식품의약안전처)_박새(출처:위키미디어)
원추리 식물사진산마늘 식물사진
원추리(출처:식품의약안전처)_산마늘(심심토)



▣ 함께 보면 좋은 글

 

삿갓나물은 독초? 약초? 항암제? | 포토 & 효능

 

삿갓나물은 독초? 약초? 항암제? | 포토 & 효능

일전에 우산나물과 삿갓나물을 비교하며 우산나물은 식용나물인 반면, 유사하게 생긴 삿갓나물은 나물 아닌 독초니까 잘 구별해야 한다고 강조한 적이 있다. 하지만 삿갓나물은 나물로서는 함

simsimto.tistory.com

야생에서 두릅 개두릅 엄나무순 음나무순 구별하는 법 | 포토

 

야생에서 두릅 개두릅 엄나무순 음나무순 구별하는 법 | 포토

봄철 기운 돋우는 나물로 두릅 개두릅 엄나무순 음나무순만 한 것이 없습니다. 용어가 산만한데, 여기서 개두릅은 엄나무순을 강원도에서 부르는 말입니다. 또한 음나무는 엄나무의 다른 이름(

simsimto.tistory.com

다래순 나물 무침, 부드러운 감칠 맛! | 효능 데치기 채취시기

 

다래순 나물 무침, 부드러운 감칠 맛! | 효능 데치기 채취시기

4월 마지막 날, 강원도 구담농장에서 다래순을 보내왔다. 재작년에 다래순나물 맛을 알고 5월이 다가오니 때를 놓치지 않으려 별렀는데, 마침 보내온 것이다. 다래순 나물은 한 번 먹어보면 그

simsimto.tistory.com

나물 이름 독초, 독성식물 8가지_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

 

나물 이름 독초, 독성식물 8가지_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

산나물은 자연이 주는 선물이지만 제대로 알지 못하고 채취할 경우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 식약처와 산림청에서도 독초를 산나물로 오인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당부한 바 있는데, 특

simsimto.tistory.com

민들레, 나물인가 약초인가 독초인가 | 서양민들레의 독성

 

민들레, 나물인가 약초인가 독초인가 | 서양민들레의 독성

산야초 아는 만큼 보이고 아는 만큼 활용할 수 있다. 알고 먹으면 나물이 되고 약초가 되지만, 모르고 먹으면 독초가 될 수도 있는 산야초. 먼저 민들레에 대해 알아본다. 민들레 종류와 함께, 나

simsimto.tistory.com

자리공 장녹 장록나물, 독초와 약초 사이 | 뿌리 효능 살충제

 

자리공 장녹 장록나물, 독초와 약초 사이 | 뿌리 효능 살충제

작년 4월 이맘때 심심토 밭에서 자리공을 만났다. 당시만 해도 이것이 나물로 먹을 수 있는 것인 줄 몰랐다. 자리공을 나물로 먹을 때 장녹, 장록나물이라 한다는 걸 최근에야 알았다. 또한 독초

simsimto.tistory.com

'동의나물은 산나물이 아닌 독초'_ 머위, 곰취, 동의나물 구별하기

 

'동의나물은 산나물이 아닌 독초'_ 머위, 곰취, 동의나물 구별하기

산나물 철이 돌아왔습니다. 자연에서 자란 산나물 한 접시면 잃었던 입맛도 돌아옵니다. 하지만 봄철 산나물 채취에서 주의해야 할 것이 바로 ‘비슷하게 생긴 독초’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머

simsimto.tistory.com

‘삿갓나물은 나물이 아닌 독초’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_우산나물과 삿갓나물

 

‘삿갓나물은 나물이 아닌 독초’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_우산나물과 삿갓나물

삿갓나물은 무늬만 나물입니다. 이름에 ‘나물’ 자가 들어 있으니 식용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삿갓나물은 독초입니다. 더구나 생긴 것도 우산나물과 비슷하고, 올라오는 시기도 비슷해 특별한

simsimto.tistory.com

머위와 닮은 식물들, 곰취, 곤달비, 털머위, 동의나물과 구별하기

 

머위와 닮은 식물들, 곰취, 곤달비, 털머위, 동의나물과 구별하기

자기 땅, 예컨대 밭 가나 집 주변에 있는 머위에 대해서는 따로 구별 절차 없이도 머위인 줄 알지만, 야생에서 머위를 만날 경우 비슷한 것들 중에는 독성 있는 것들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구별

simsimto.tistory.com

박새는 나물 아닌 독초, 독성식물 구별법 | 포토

 

박새는 나물 아닌 독초, 독성식물 구별법 | 포토

4월 5월, 여기저기 산나물이 올라오기 시작할 때 조심해야 할 식물 하나가 있다. 바로 박새(나물)이다. (여기서 '나물'이라고 한 것은 조류 '박새'와 구분하기 위함) 박새는 산마늘(명이나물)과 비

simsimto.tistory.com

이 예쁜 것이 어찌 쥐오줌풀? _쥐오줌풀의 뛰어난 효능

 

이 예쁜 것이 어찌 쥐오줌풀? _쥐오줌풀의 뛰어난 효능

쥐오줌 냄새가 난다고 해서 쥐오줌풀, 그러나 꽃은 곱기만 합니다. 더구나 나물로도 먹고 약재로도 뛰어난 효능을 가진 기특한 산야초입니다. 4월 말 산지에서 만났던 쥐오줌풀 알아봅니다. [ 목

simsimto.tistory.com

여우오줌풀(담배풀)과는 다른, 여우오줌(왕담배풀)의 생태와 효능

 

여우오줌풀(담배풀)과는 다른, 여우오줌(왕담배풀)의 생태와 효능

얼마 전 강원도 산지에서 여우오줌을 만났습니다. 진짜 여우의 오줌이 아니라 '왕담배풀'이라고도 불리는 야생초 '여우오줌'입니다. 이름도 특이한 여우오줌, 왕담배풀의 생태와 효능 살펴봅니

simsimto.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