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토/산야초

'동의나물은 산나물이 아닌 독초'_ 머위, 곰취, 동의나물 구별하기

by 심심토 2023. 4. 14.

산나물 철이 돌아왔습니다. 자연에서 자란 산나물 한 접시면 잃었던 입맛도 돌아옵니다.
하지만 봄철 산나물 채취에서 주의해야 할 것이 바로 ‘비슷하게 생긴 독초’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머위, 곰취와 비숫한 동의나물이 아닐까 싶습니다.

 

 

머위

머위는 4월 말부터 5월까지 한창 수확을 하게 되는 대표적인 봄나물입니다.
경험으로 보면 4월 머위는 연해 잎과 줄기를 그대로 식용할 수 있고 5월 넘어가면서부터는 잎이 커지고 억세 지며 쓴맛 또한 강해져, 질기지 않는 한 먹을 수는 있다 하지만 쓴맛을 즐길 줄 아는 사람이나 해당된다 할 것이고, 반면 줄기는 껍질을 벗겨주어야 하지만 굵어지고 길어져 기꺼이 작업해 줄 마음이 납니다.

 

둥그렇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는 커다란 잎의 곰취사진한 잎은 둥그렇게 펼쳐져 있고 한 잎은 이제 막 올라오고 있다
머위(출처:위키미디어) _ 머위는 잎에 주름이 적고 얇으며 잎 가장자리 톱니가 불규칙합니다. 가장 큰 특징은 줄기가 굵고 줄기 하단부가 자색을 띤다는 점입니다.

 

 

머위 줄기를 벗기려면 살짝 데치면 수월하고, 껍질을 벗긴 머위줄기는 그야말로 최고의 식재료지요.
들깻가루 듬뿍 넣고, 볶아도 맛있고, 주체할 수 없이 많다면 장아찌를 담가도 최고입니다.

 

머위의 효능이나 재배법, 요리법 등 머위에 관한 것은 그동안 이곳 심심토에서 많이 다루었던 터라 관련 글을 찾아보시길 권하고 곰취로 넘어갑니다.

 

 

곰취

 

둥글고 넙적한 잎의 곰취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둥글고 넓적한 잎이 클로즈업 되어 있는 가운데 가장자리 톱니가 선명하다
곰취(출처:위키미디어) _ 곰취는 잎이 얇고 잎맥이 선명하며 머위와 비교하면 잎 가장자리 톱니가 날카로운 점, 줄기가 가는 점이 다르고, 동의나물과 비교하면 잎이 얇고 부드럽고 줄기 하단부에 붉은 기가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쌉싸름한 맛이 일품인 곰취.
고산의 약간 그늘지도 습한 곳에서 만나곤 했던 것 같은데, 아주 오래전이네요. 설악산 점봉산 곰배령에서 곰취를 뜯어 가져간 식수에 휘휘~ 한 번 헹구는 둥 마는 둥 한 후 고추장, 된장만 얹어 쌈밥을 해도 맛나던 추억요. 어언 20여 년 전 일이구먼요. 요즘은 곰배령도 데크가 되어 있고, 사전 예약 뭐... 그런 거 해야 하는가 보던데... ㅎ 얘기가 옆으로 샜습니다.

 

누군 깊은 산, 곰이 먹는다 하여 곰취라 하던데, 요즘은 거의 모두 재배겠지요?
특히 곰취는 산에서도 쉬 만나지지 않던 귀한 나물이었던 걸로 기억나는데, 그러니 혹 만나면 더욱 반갑겠지요. 곰취와 헷갈리기 쉬운 동의나물 분명히 알아둡니다.

 

 

동의나물

 

동의나물(출처:식품의약품안전처/위키미디어)
작고 노란 꽃이 가득 피어난 동의나물 모습동의나물을 설명하기 위해, 잎, 뿌리, 씨앗 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동의나물(출처: 국립수목원)_동의나물은 잎이 두꺼운 편이고 잎맥이 불규칙합니다. 또한 줄기가 가늘고 붉은 빛이 전혀 없습니다. 대개 식용 나물들은 줄기에 자색빛이 도는 게 많는데, 이 부분에서도 동의나물을 구별할 수 있겠습니다.

 

 

이름만 나물이지 독초인 동의나물. 꽃도 예뻐서 어쩌다 만나게 되면 절로 사진을 찍게 되는데, 이것이 독이 있습니다.
생긴 것이 꼭 곰취를 닮아 헷갈리기 쉬운데, 잘 구별하여야겠습니다. 잎이 곰취보다 두껍고 반질반질합니다.

 

 

머위, 곰취, 동의나물 비교해보기

 

왼쪽에는 곰취를, 오른쪽에는 동의나물 이미지를 배치해 비교하고 있다
곰취와 동의나물(출처:한국임업진흥원)

 

곰취와 동의나물, 구별이 되는가요?
동의나물은 잎이 더 두껍고 잎맥이 불규칙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곰취는 얇고 연한 느낌, 그리고 줄기에 붉은 기가 돕니다.

 

 

동의나물과 곰취, 머위를 각각 열매, 잎, 잎자루. 잎의 톱니로 나누어 비교하고 있다
동의나물, 곰취, 머위의 구별(출처:국립수목원) _ 잎의 톱니와 잎자루에서도 차이가 납니다.

 

 

사진 이미지로만으론 한계가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사진이란 촬영 상황(빛)에 따라 전혀 다른 느낌이 날 수도 있고, 또 뭐든 제대로 실물을 접하면서 배워야 확실하니까요.

 

잘 아시는 분과 동행하거나 아니면 현지에서 '모야모' 같은 앱으로 문의해 확인하는 것도 방법이겠습니다.
모야모 앱은 야생화에 대한 질문에 실시간으로 응답해 주는데, 그런데 '이게 뭔가요?' 정도로만 물어야지 '이거 먹을 수 있는 나물인가요?'라고 묻는 건, 취지 밖인 것 같더라고요. ('모야모'는 제가 급하면 쓰는 방법이라, 참고 삼아 언급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야생에서 두릅 개두릅 엄나무순 음나무순 구별하는 법 | 포토

 

야생에서 두릅 개두릅 엄나무순 음나무순 구별하는 법 | 포토

봄철 기운 돋우는 나물로 두릅 개두릅 엄나무순 음나무순만 한 것이 없습니다. 용어가 산만한데, 여기서 개두릅은 엄나무순을 강원도에서 부르는 말입니다. 또한 음나무는 엄나무의 다른 이름(

simsimto.tistory.com

삿갓나물은 독초? 약초? 항암제? | 포토 & 효능

 

삿갓나물은 독초? 약초? 항암제? | 포토 & 효능

일전에 우산나물과 삿갓나물을 비교하며 우산나물은 식용나물인 반면, 유사하게 생긴 삿갓나물은 나물 아닌 독초니까 잘 구별해야 한다고 강조한 적이 있다. 하지만 삿갓나물은 나물로서는 함

simsimto.tistory.com

나물 이름 독초, 독성식물 8가지_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

 

나물 이름 독초, 독성식물 8가지_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

산나물은 자연이 주는 선물이지만 제대로 알지 못하고 채취할 경우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 식약처와 산림청에서도 독초를 산나물로 오인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당부한 바 있는데, 특

simsimto.tistory.com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세요 _ 박새, 여로, 원추리, 산마늘의 구별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세요 _ 박새, 여로, 원추리, 산마늘의 구별

산나물철이 왔습니다. 산나물과 독초의 정확한 구별이 필요한 때입니다. 식용나물인 원추리와 산마늘, 그리고 독초인 박새와 여로, 언뜻 구별하기 쉽지 않은 면이 있어 정리해 봅니다. 원추리

simsimto.tistory.com

‘삿갓나물은 나물이 아닌 독초’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_우산나물과 삿갓나물

 

‘삿갓나물은 나물이 아닌 독초’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_우산나물과 삿갓나물

삿갓나물은 무늬만 나물입니다. 이름에 ‘나물’ 자가 들어 있으니 식용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삿갓나물은 독초입니다. 더구나 생긴 것도 우산나물과 비슷하고, 올라오는 시기도 비슷해 특별한

simsimto.tistory.com

머위와 닮은 식물들, 곰취, 곤달비, 털머위, 동의나물과 구별하기

 

머위와 닮은 식물들, 곰취, 곤달비, 털머위, 동의나물과 구별하기

자기 땅, 예컨대 밭 가나 집 주변에 있는 머위에 대해서는 따로 구별 절차 없이도 머위인 줄 알지만, 야생에서 머위를 만날 경우 비슷한 것들 중에는 독성 있는 것들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구별

simsimto.tistory.com

박새는 나물 아닌 독초, 독성식물 구별법 | 포토

 

박새는 나물 아닌 독초, 독성식물 구별법 | 포토

4월 5월, 여기저기 산나물이 올라오기 시작할 때 조심해야 할 식물 하나가 있다. 바로 박새(나물)이다. (여기서 '나물'이라고 한 것은 조류 '박새'와 구분하기 위함) 박새는 산마늘(명이나물)과 비

simsimto.tistory.com

민들레, 나물인가 약초인가 독초인가 | 서양민들레의 독성

 

민들레, 나물인가 약초인가 독초인가 | 서양민들레의 독성

산야초 아는 만큼 보이고 아는 만큼 활용할 수 있다. 알고 먹으면 나물이 되고 약초가 되지만, 모르고 먹으면 독초가 될 수도 있는 산야초. 먼저 민들레에 대해 알아본다. 민들레 종류와 함께, 나

simsimto.tistory.com

자리공 장녹 장록나물, 독초와 약초 사이 | 뿌리 효능 살충제

 

자리공 장녹 장록나물, 독초와 약초 사이 | 뿌리 효능 살충제

작년 4월 이맘때 심심토 밭에서 자리공을 만났다. 당시만 해도 이것이 나물로 먹을 수 있는 것인 줄 몰랐다. 자리공을 나물로 먹을 때 장녹, 장록나물이라 한다는 걸 최근에야 알았다. 또한 독초

simsimto.tistory.com

꽃도 좋고 약재로도 좋은, 골담초 효능과 포토

 

꽃도 좋고 약재로도 좋은, 골담초 효능과 포토

골담초, 이름도 특이합니다. '뼈는 내가 담당한다'라고 큰소리치는 식물입니다. 꽃도 예쁘고 약재로서도 훌륭한 5월의 꽃, 골담초 만나 봅니다. ◈ 목차 ◈ 1. 골담초 개요 2. 특징 및 생태 줄기 뿌

simsimto.tistory.com


참고사이트 : 국립수목원 | 위키미디어 | 식품의약안전처 | 한국임업진흥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