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토/산야초

나물 이름 독초, 독성식물 8가지_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

by 심심토 2023. 5. 3.

산나물은 자연이 주는 선물이지만 제대로 알지 못하고 채취할 경우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 식약처와 산림청에서도 독초를 산나물로 오인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당부한 바 있는데, 특히 ' 나물이름' 을 갖고 있는 8가지 독초, 독성식물 조심하여야 합니다.

 

 

나물이름을 갖고 있는 독초, 독성식물 8가지

 

삿갓나물, 피나물, 동의나물, 요강나물, 젓가락나물, 개발나물, 대나물, 윤판나물 등은 이름에 ' 나물' 자가 들어가 있어 식용 가능한 '나물'로 오인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것들은 독초 혹은 독성식물로 분류됩니다. 지역에 따라 어린 순을 식용할 수 있다고 하는 경우도 있으나, 주의가 필요합니다.

 

사실 독초와 약용식물의 경계는 애매한 면이 있습니다. 일률적으로 말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여기서는 우리가 흔히 '나물'로 먹을 때를 염두에 두고 하는 분류임을 밝힙니다.

 

 

삿갓나물

(학명 Paris verticillata M. Bieb.)

 

삿갓나물은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높은 산의 숲 속에서 자라며 줄기가 20~40cm 높이로 자라고 6~8개의 잎이 돌려납니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산나물 채취 시 주의해야 할 부분은 바로 우산나물과 혼동하기 쉽다는 점입니다. 올라오는 시기도 4월 말에서 5월 중순으로 비슷해 구별이 필요합니다.

 

삿갓나물 사진
삿갓나물(출처:국립생물자원관)
삿갓나물사진우산나물 사진
삿갓나물(좌)과 우산나물(우)의 구별 _ 우산나물은 어린 나물일 때 잎과 줄기 모두 뽀얀 솜털로 덮여 있어 쉽게 구별이 됩니다.

 

 

피나물

(학명 Hylomecon vernalis Maxim.)

 

노란꽃이 핀 피나물사진
피나물(출처:국립생물자원관)

 

피나물은 양귀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산지 계곡이나 계류 근처의 습기 많은 곳에서 자라며 땅속줄기가 옆으로 기며 뻗습니다. 높이 20~30cm로 자라며 작은 잎이 5~7장 모여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노란색으로 지름 3cm 정도, 보통 4장의 꽃잎으로 핍니다.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는데, 줄기를 자르면 노란빛이 도는 붉은 피 같은 유액이 나와 피나물이라는 이름을 짐작해 봅니다.

 

 

동의나물

(학명 Caltha palustris L.)

 

노란꽃이 핀 동의나물 사진
동의나물(출처:국립생물자원관)

 

동의나물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산속 습기 많은 곳에서 자랍니다. 줄기는 매끈하고 높이 30~60cm까지 자라며 꽃은 4~5월 줄기 위쪽에 2~4개씩 노란색으로 달리는데, 이는 꽃잎이 아니라 꽃받침잎 5~7장으로 구성된 것입니다.

 

동의나물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곰취, 머위 등과의 구별입니다. 특히 곰취와 혼동하기 쉽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곰취보다 잎이 도톰하고 윤기가 나는 것으로 구별되며 줄기가 여럿 모여 나는 것도 차이점입니다.

 

 

요강나물

(학명 Clematis fusca var. flabellata J.S. Kim)

 

종모양이 꽃이 핀 요강나물 사진
요강나물(출처:국립생물자원관)

 

요강나물은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에 속하는 낙엽성 반관목입니다. 높이 30~100cm까지 곧게 자라며 중부지역의 높은 산지에서 자라는 한국 고유종입니다. 

 

꽃은 5~6월에 피고 밑을 향해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는데, 우단 같은 암자색 털이 덮인 종모양의 꽃이 사랑스러워 관상용으로 재배하기도 합니다. 내한성이 강하고 음지, 양지 모두 잘 자라나 내건성은 약한 식물입니다. 국내에서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로 보호가 필요한 종이기도 합니다.

 

 

젓가락나물

(학명 Ranunculus chinensis Bunge)

 

젓가락나물 사진젓가락나물 사진
젓가락나물(출처:국립생물자원관)

 

젓가락나물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햇빛이 잘 들고 습기가 많은 들판에서 자랍니다. 줄기는 곧추서고 속이 비어 있으며, 높이 40~80cm로 가지를 치며 자랍니다. 줄기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있습니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줄기와 가지 끝에서 노란색으로 달리며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장입니다. 전초를 약용하며 젓가락풀이라고도 부릅니다.

 

 

개발나물

(학명 Sium suave Walter)

 

개발나물 사진
개발나물(출처:국립생물자원관)

 

개발나물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강가, 호수 주변, 습한 풀밭에 자라며 줄기는 높이 50~120cm로 곧추섭니다. 줄기 속은 비어 있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집니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 잎이 3~9쌍으로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1~4cm로 나는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며, 줄기와 가지 끝에 겹산형꽃차례로 달립니다.

 

대나

(학명 Gypsophila oldhamiana Miq.)

 

비탈에 피어난 대나물 사진대나물이 꽃핀 사진
대나물(출처:국립생물자원관)

 

대나물은 석죽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산과 들에서 자랍니다. 털이 없으며 뿌리줄기는 굵고 나무질을 띱니다. 줄기는 아래쪽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곧추서며 마디가 뚜렷합니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의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합니다. 꽃은 흰색으로 8~10월에 줄기 끝의 취산꽃차례에 여러 개가 모여 핍니다.

 

 

윤판나물

(학명 Disporum uniflorum Baker)

 

노란꽃을 매달고 있는 윤판나물사진
윤판나물(출처:국립생물자원관)

 

윤판나물은 백합과 애기나리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그늘진 숲 속이나 들판에서 자랍니다. 

줄기는 곧추서며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50cm에 이르며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거의 없이 긴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을 이루면서 길이 5~18cm, 폭 3~6cm로 달립니다. 잎은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이 매끈합니다.

 

꽃은 4~5월에 가지 끝에서 2~3개씩 땅을 향해 달리는데 노란색으로 길이 2cm 정도입니다. 화피는 6장이며, 주걱 모양, 모여서 통 모양을 이룹니다. 우리나라에서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전역에 분포하며 대애기나리, 큰가지애기나리, 금윤판나물이라고도 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독성식물과 독성물질

 

독성식물과 독성물질

산나물, 산야초 공부를 할 때 만나게 되는 것이 독초, 독성식물입니다. 이는 식용이나 약용이냐에 따라 다르고, 또 같은 식용이라 하여도 날 것으로 먹느냐, 익혀 먹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정확히

simsimto.tistory.com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세요 _ 박새, 여로, 원추리, 산마늘의 구별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세요 _ 박새, 여로, 원추리, 산마늘의 구별

산나물철이 왔습니다. 산나물과 독초의 정확한 구별이 필요한 때입니다. 식용나물인 원추리와 산마늘, 그리고 독초인 박새와 여로, 언뜻 구별하기 쉽지 않은 면이 있어 정리해 봅니다. 원추리

simsimto.tistory.com

'동의나물은 산나물이 아닌 독초'_ 머위, 곰취, 동의나물 구별하기

 

'동의나물은 산나물이 아닌 독초'_ 머위, 곰취, 동의나물 구별하기

산나물 철이 돌아왔습니다. 자연에서 자란 산나물 한 접시면 잃었던 입맛도 돌아옵니다. 하지만 봄철 산나물 채취에서 주의해야 할 것이 바로 ‘비슷하게 생긴 독초’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머

simsimto.tistory.com

‘삿갓나물은 나물이 아닌 독초’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_우산나물과 삿갓나물

 

‘삿갓나물은 나물이 아닌 독초’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_우산나물과 삿갓나물

삿갓나물은 무늬만 나물입니다. 이름에 ‘나물’ 자가 들어 있으니 식용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삿갓나물은 독초입니다. 더구나 생긴 것도 우산나물과 비슷하고, 올라오는 시기도 비슷해 특별한

simsimto.tistory.com

 

머위와 닮은 식물들, 곰취, 곤달비, 털머위, 동의나물과 구별하기

 

머위와 닮은 식물들, 곰취, 곤달비, 털머위, 동의나물과 구별하기

자기 땅, 예컨대 밭 가나 집 주변에 있는 머위에 대해서는 따로 구별 절차 없이도 머위인 줄 알지만, 야생에서 머위를 만날 경우 비슷한 것들 중에는 독성 있는 것들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구별

simsimto.tistory.com

이 예쁜 것이 어찌 쥐오줌풀? _쥐오줌풀의 뛰어난 효능

 

이 예쁜 것이 어찌 쥐오줌풀? _쥐오줌풀의 뛰어난 효능

쥐오줌 냄새가 난다고 해서 쥐오줌풀, 그러나 꽃은 곱기만 합니다. 더구나 나물로도 먹고 약재로도 뛰어난 효능을 가진 기특한 산야초입니다. 4월 말 산지에서 만났던 쥐오줌풀 알아봅니다. [ 목

simsimto.tistory.com


참고자료 : 이재명의 <느긋하게 친해져도 괜찮아> | 이영득의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