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6

[친절한 레시피] 겹삼잎국화(삼잎국화) 나물 요리법이 궁금하다면! 여름이면 마당가 담벼락에 노란 꽃송이를 휘청이며 피어있던 키다리노랑꽃. 키다리나물, 꽃나물로 불리며 식탁에 오르기도 했는데, 바로 삼잎국화나물입니다. 삼잎국화 나물 요리법 알아봅니다. 삼잎국화, 겹삽잎국화 삼잎국화는 국화과 원추천인국 속(루드베키아 속)에 속하는 식물로 겹꽃으로 된 겹삼잎국화와 홑으로 된 홑삼잎국화로 나눕니다. 모두 식용가능한데, 이는 길 가, 도로변에 조경용으로 심는 원추천인국(루드베키아)과는 구별됩니다. 삼잎국화는 어린잎을 나물로 먹습니다 삼잎국화는 키다리나물, 꽃나물로도 불렸는데 이는 예로부터 봄에 올라오는 어린잎을 나물로 먹었기 때문입니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로 1912년 ~ 1945년에 원예식물로 도입되어 전국적으로 분포하게 되었습니다.나물로 먹을 때 삼잎국화는 지상부 30.. 2023. 4. 16.
‘꽃에서 나물로’ 떠오르는 재배작물, 삼잎국화(겹삼잎국화), 키다리나물, 꽃나물 마을길, 학교 화단, 담벼락, 마당가… 한 번쯤 시골에서 만났던 키다리노랑꽃, 그 꽃이 삼잎국화입니다. 꽃도 좋지만 나물로도 좋아 애용되어 왔던 삼잎국화가 2021년 식용가능식물로 정식승인됨에 따라 본격적인 재배작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꽃’ 으로서의 삼잎국화학명 Rudbeckia laciniata var. hortensis Bailey겹삼잎국화는 국화과 Rudbeckia속으로 학명은 Rudbeckia laciniata. 영어명은 Golden Glow입니다.  생물학적 분류문 : 속씨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초롱꽃목(Campanulales) 과 : 국화과(Compositae) 속 : 원추천인국속(Rudbeckia) 키다리노랑꽃이 바로 삼잎.. 2023. 4. 15.
‘삿갓나물은 나물이 아닌 독초’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_우산나물과 삿갓나물 삿갓나물은 무늬만 나물입니다. 이름에 ‘나물’ 자가 들어 있으니 식용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삿갓나물은 독초입니다. 더구나 생긴 것도 우산나물과 비슷하고, 올라오는 시기도 비슷해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우산나물  <ins class="adsbygoogle" style="display: block;" data-ad-client="ca-pub-4681659214877151" data-ad-.. 2023. 4. 14.
'동의나물은 산나물이 아닌 독초'_ 머위, 곰취, 동의나물 구별하기 산나물 철이 돌아왔습니다. 자연에서 자란 산나물 한 접시면 잃었던 입맛도 돌아옵니다.하지만 봄철 산나물 채취에서 주의해야 할 것이 바로 ‘비슷하게 생긴 독초’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머위, 곰취와 비숫한 동의나물이 아닐까 싶습니다.   머위 머위는 4월 말부터 5월까지 한창 수확을 하게 되는 대표적인 봄나물입니다.경험으로 보면 4월 머위는 연해 잎과 줄기를 그대로 식용할 수 있고 5월 넘어가면서부터는 잎이 커지고 억세 지며 쓴맛 또한 강해져, 질기지 않는 한 먹을 수는 있다 하지만 쓴맛을 즐길 줄 아는 사람이나 해당된다 할 것이고, 반면 줄기는 껍질을 벗겨주어야 하지만 굵어지고 길어져 기꺼이 작업해 줄 마음이 납니다.   머위 줄기를 벗기려면 살짝 데치면 수월하고, 껍질을 벗긴 머위줄기는 그야말로 최고의 .. 2023. 4.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