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토/농작물

공심채(空心菜) 재배해 볼까나? | 메꽃과 나물 | 모닝글로리

by 심심토 2025. 2. 20.

공심채라고 들어보셨나요? 가운데가 비어 있어 공심채(空心菜)! 아열대성 작물로 동남아 요리에 많이 등장하지만, 기후 변화로 우리나라에도 재배되기 시작했는데요, 올해 심심토에도 공심채를 재배해볼까 싶습니다. 자료 함께 공유합니다.

 

 

공심채 썸네일

 

공심채(空心菜)


공심채(Ipomoea aquatica)는 동남아시아와 중국 남부 원산의 아열대성 채소로, 속이 빈 줄기와 아삭한 식감이 특징입니다. 최근 한국에서도 기후 변화와 다문화 수요 증가로 재배가 확대되며, 영양학적 가치와 함께 문화적 상징성까지 주목받고 있습니다.

 

1. 식물학적 분류 및 형태

공심채는 메꽃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로, 학명 'Ipomoea aquatica'는 '물을 좋아하는' 특성을 반영합니다. 영문명은 Water convolvulus, Water spinach, Morning glory 등 다양하게 불립니다.

줄기는 속이 비어 최대 3m까지 신장하며, 잎은 심장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5~15cm 범위입니다. 여름철에 나팔꽃과 유사한 모양의 백색 또는 분홍색 꽃이 핍니다.

 

공심채 꽃
공심채꽃_by Sun Jiao(위키미디어)

2. 공심채의 다양한 이름

공심채는 나라별로 다양한 이름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물 시금치, 습지 양배추, 물 메밀꽃, 물 나팔꽃, 모닝글로리 등으로 불리지만, 캉쿵(인도네시아어, 말레이어), 캉콩(타갈로그어), 엥차이(호키어), 탕콩(세부아노어), 캉쿵(신할라어), 트라우쿤(크메르어: ត្រកនឱឱឱខ: ุ้ง)(태국어), 라우 무옹(베트남어), 콩신차이(중국어: 空心菜; 병음: kongxīncài; 문자 그대로 '속이 비어 있는 야채'), 홈 섬 초이(하카어), 옹 초이 또는 퉁 초이(광둥어 발음: i), ' ကန္စြန္း '(버마어: 켄준) 등 다양하게 불립니다.

3. 동양 철학 속 공심채

중국 고대 문헌 『산해경(山海經)』에서는 공심채를 '신선이 먹는 채소(仙蔬)'로 기록하며, 신비로운 생명력과 청정함을 상징하는 채소를 공심채를 꼽았다고 합니다. 이는 공심채가 물과 습기를 좋아하는 특성과 연결되어, 도교(道敎) 수행자들이 청정한 식재료로 삼았던 역사적 배경을 반영합니다.

 

공심채 특성과 재배 조건


1. 재배 환경

- 기후: 공심채은 25~32°C에서 최적의 생장을 보입니다. 15°C 미만 시 생육이 저해되고, 한국에서는 5~9월이 재배 적합기입니다.

- 토양: 유기물 3% 이상, pH 6.0~6.8의 사양토가 좋습니다. 질소-인산-칼리 비료는 15-20-15kg/10a의 비율로 시비합니다.

- 수분: 토양은 수분을 80~90% 유지하는 게 좋습니다. 그러나 논 재배 시에는 배수로를 설치해 과습을 방지해야 합니다.

2. 병해충 관리

- 뿌리썩음병: 방제를 위해 트리코더마(Trichoderma harzianum) 토양 처리가 필요합니다.

- 흰가루병: 유황 입자(300mesh) 5kg/10a 살포합니다.

- 진딧물: 무당벌레 유충을 방사해 진딧물을 방제합니다

 

 

3. 기후 변화 대응

아열대 작물이지만 가속화되는 지구 온난화에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름철에는 50% 차광망을 설치해 엽온을 3~5°C 저감 시켜주고, 겨울철에는 LED 보광(적색:청색=3:1)으로 생장 주기를 조절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글로벌 요리 문화와 재배 현황


1. 아시아 지역별 활용

 

공심채요리, 라우무옹
라우무옹(rau muống) by Andy Wright(위키미디어)

 

- 베트남: '라우무옹(rau muống)'으로 불리며 마늘 볶음 요리, 쌀국수 토핑 등으로 소비됩니다.

- 태국: '팍붕(phak bung)'이라 불리며 고추, 레몬그라스와 볶음 요리 주재료로 쓰입니다.

- 필리핀: '아도보(Adobong kangkong)' 스튜 형태로 조리됩니다.

 

2. 한국 내 재배 확대

2023년 기준 재배면적이 120ha, 생산량이 1,800톤/년(KREI)에 달합니다. 제주·부산·세종 등 남부 지역 중심으로 겨울철 LED 보광 병행 시설 재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마켓컬리 등 유통플랫폼에서 국내산 공심채를 판매 중입니다.

 

영양학적 가치와 건강 효능


1. 주요 성분

- 비타민 A: 6,500IU(일일 권장량 130%) – 시력 보호·피부 건강 효능.

- 비타민 C: 55mg(92%) – 항산화·면역 강화 효능.

- 철분: 2.5mg(14%) – 빈혈 예방 효과.

- 식이섬유: 2.1g – 장 건강 개선 효과.

2. 임상적 효과

- 혈당 조절: GI 지수 15로 당뇨 환자에 적합합니다.

- 미백 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60% 이상으로 미백 효과가 뛰어납니다. (대나무 추출물 대비 우수)

- 항암 가능성: 베타카로틴과 테르펜의 자유라디칼 제거 작용이 있어 항암 효과가 기대됩니다.

 

저장 및 가공 방법


1. 신선도 유지법

- 냉장 보관: 종이포장 후 5°C에서 최대 5일간 선도가 유지됩니다. 중량 3% 이내 차이 발생 가능.

- 블랜칭 후 냉동: 30초 데친 후 급속냉동하면 6개월간 보관할 수 있습니다.

2. 가공 식품 개발

- 분말 제품: 건강 보조제·화장품 원료로 활용됩니다.

- 발효 음료: 젖산균 배양을 통한 기능성 음료 제조 실험이 진행 중입니다.

 

산업적 활용 확대


1. 기능성 화장품: 안토시아닌의 미백 효과

공심채는 안토시아닌이라는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가 있습니다. 안토시아닌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크림 개발이 진행 중이며, 이는 공심채의 건강 효능을 화장품으로 활용하는 좋은 예입니다

2. 바이오 플라스틱: 줄기 섬유소 활용

공심채 줄기의 셀룰로오스 함량(60~70%)은 기존 목재보다 높아 친환경 소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 플라스틱 대신 생분해성 포장재를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환경 보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맺음말


이상 공심채에 대해 다각도로 알아보았습니다. 다양한 이름에서부터 재배 방법과 현황, 영양학적 가치 및 효능, 저장 및 가공, 산업적 활용까지. 원래 아열대작물이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재배지가 확산되며 주목받는 작물이 되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공심채(空心菜) 기르기 | 재배 조건과 재배 방법

 

공심채(空心菜) 기르기 | 재배 조건과 재배 방법

원래 아열대작물이지만 지구 온난화로 우리나라에서도 재배되기 시작한 공심채(空心菜)! 생것일 때는 아삭한 식감, 말린 것은 쫄깃한 식감, 무미무취의 채소지만 식감만은 일품입니다. 공심채

simsimto.tistory.com

강원도 고랭지 메밀 재배를 자연농법으로 | 종류 효능 추천품종 재배법

 

강원도 고랭지 메밀 재배를 자연농법으로 | 종류 효능 추천품종 재배법

강원도 고랭지, 바람 많은 환경에서 메밀을 재배하려고 합니다. 적합한지 알아보고 적절한 품종 선택과 재배법 또한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은 고랭지 메밀 재배의 적합성, 메밀 품종 정보와 추

simsimto.tistory.com

고은찰, 항산화 성분 풍부한 고기능성 찰수수 신품종, 심어볼까나?

 

고은찰, 항산화 성분 풍부한 고기능성 찰수수 신품종, 심어볼까나?

강원도 고랭지, 바람도 제법 있는 곳에 심을 수수를 고민하던 중, 고은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에 그간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고은찰 수수에 대해 공유합니다.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슈퍼푸드,

simsimto.tistory.com

항산화 성분 풍부한, 찰수수 메수수 특징과 품종별 키 비교

 

항산화 성분 풍부한, 찰수수 메수수 특징과 품종별 키 비교

영양가 높고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슈퍼푸드로 부상한 수수. 가뭄에도 강하고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 정선 일대에서도 많이 재배하고 있는데요, 올해 강원도 고랭지 심심두메에도 수수를 재

simsimto.tistory.com

로마네스코 브로콜리 '아름다운 프랙탈 문양의 십자화과 채소'

 

로마네스코 브로콜리 '아름다운 프랙탈 문양의 십자화과 채소'

채소 로마네스코를 아는지요? 아름다운 프랙탈 구조의 문양을 지닌 로마네스크는 브로콜리와 콜리플라워의 교배종입니다. 오늘은 이 로마네스코 브로콜리(Romanesco Broccol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

simsimto.tistory.com

곤드레나물의 생태 영양 효능 요리법 | 곤드레밥 곤드레나물볶음

 

곤드레나물의 생태 영양 효능 요리법 | 곤드레밥 곤드레나물볶음

'고려엉겅퀴'라고도 불리는 곤드레, 우리에겐 곤드레밥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이 곤드레에 대해 식물학적 특성에서부터 영양소, 건강상 효능, 그리고 곤드레밥, 곤드레나물볶

simsimto.tistory.com

수수 효능 활용법 재배환경 재배법

머위, 뭐가 좋지? _ 머위 효능과 요리, 활용법, 손질법

 

머위, 뭐가 좋지? _ 머위 효능과 요리, 활용법, 손질법

내친김에 머위에 대한 연구, 재배 방법에 대한 공부에 돌입했다 수집한 정보 중 내게 필요한 것만 정리해 본다. 밭을 망치려면 머위를 심으라고? '밭을 망치려면 머위를 심으라'라는 말이 있다.

simsimto.tistory.com

머위,머우, 머구, 머윗대, 머웃대… 좀 더 알아볼까?

 

머위,머우, 머구, 머윗대, 머웃대… 좀 더 알아볼까?

일전에 올린 머위에 관한 포스팅을 보충하고자 한다. 점점 머위에 빠져들고 있다고나 할까? 올봄, 머위 재배(재배라기보다는 번식이라고 봐야 하지만)에 돌입한다 생각하니, 깨알 정보라도 놓칠

simsimto.tistory.com

머위 재배, 포기나누기부터 관리, 수확, 요리까지

 

머위 재배, 포기나누기부터 관리, 수확, 요리까지

(본 재배 정보는 사업적으로 하는 대규모농장이 아닌 자가소비 농가를 염두에 둔 정보입니다) 자가 식용 정도의 재배일 때 머위는 ‘재배한다’라기보다는 나무 아래, 산자락, 밭둑 등에 자생하

simsimto.tistory.com

‘꽃에서 나물로’ 떠오르는 재배작물, 삼잎국화(겹삼잎국화), 키다리나물, 꽃나물

 

‘꽃에서 나물로’ 떠오르는 재배작물, 삼잎국화(겹삼잎국화), 키다리나물, 꽃나물

마을길, 학교 화단, 담벼락, 마당가… 한 번쯤 시골에서 만났던 키다리노랑꽃, 그 꽃이 삼잎국화입니다. 꽃도 좋지만 나물로도 좋아 애용되어 왔던 삼잎국화가 2021년 식용가능식물로 정식승인됨

simsimto.tistory.com

꽃도 좋고, 나물로도 좋은 삼잎국화(겹삼잎국화), 키다리 나물

 

꽃도 좋고, 나물로도 좋은 삼잎국화(겹삼잎국화), 키다리 나물

잎이 삼베천을 짜는 삼(대마)을 닮아 삼잎국화, 키가 크고 노랑꽃이 피어서 키다리노랑꽃, 이름에 '국화' 자가 들어있지만 모두 '루드베키아' 속 삼잎국화입니다. 이 삼잎국화가 나물로도 애용되

simsimto.tistory.com

맛 좋고 기르기 쉬운 작물, 삼잎국화(겹삼잎국화) 나물 재배법

 

맛 좋고 기르기 쉬운 작물, 삼잎국화(겹삼잎국화) 나물 재배법

맛 좋고 기르기 쉬운 작물, 삼잎국화(겹삼잎국화) 나물 재배법 알아봅니다. 강인한 생명력으로 언제 옮겨 심어도 잘 살고, 봄부터 가을까지 나물 채취가 가능한 삼잎국화, 잘 자라기까지 하니 이

simsimto.tistory.com

[친절한 레시피] 겹삼잎국화(삼잎국화) 나물 요리법이 궁금하다면!

 

[친절한 레시피] 겹삼잎국화(삼잎국화) 나물 요리법이 궁금하다면!

여름이면 마당가 담벼락에 노란 꽃송이를 휘청이며 피어있던 키다리노랑꽃. 키다리나물, 꽃나물로 불리며 식탁에 오르기도 했는데, 바로 삼잎국화나물입니다. 삼잎국화 나물 요리법 알아봅니

simsimto.tistory.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