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토/산야초

삿갓나물은 독초? 약초? 항암제? | 포토 & 효능

by 심심토 2024. 4. 30.

일전에 우산나물과 삿갓나물을 비교하며 우산나물은 식용나물인 반면, 유사하게 생긴 삿갓나물은 나물 아닌 독초니까 잘 구별해야 한다고 강조한 적이 있다. 하지만 삿갓나물은 나물로서는 함부로 먹으면 안 되지만, 그 뿌리는 항암효과까지 내다보는 약성이 있다고 한다. 이번에는 약초로서의 삿갓나물 효능을 사진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삿갓나물은 나물이 아닌 독초’ 글 보기 ▶

 

✅목차

삿갓나물 포토
삿갓나물
삿갓나물 생태
삿갓나물의 독성
활용 및 효능
삿갓나물과 우산나물의 차이 구별 | 포토
마치며

 

 

삿갓나물 포토

 

삿갓나물 군락 모습

 

 

4월 말, 강원도 산행을 나섰었다. 강릉과 정선의 경계에 있는 노추산 산행에서 한 무리의 삿갓나무 군락을 만났다. 한창 나물로서 맞춤한 성장을 하고 있던 때라, 자칫 우산나물로 착각하면 독을 입을 수도 있는 상태였다. 거듭 말하지만 삿갓나물은 나물로 먹으면 안 된다.

 

삿갓나물

 

 

삿갓나물과 우산나물은 생김새도 비슷할 뿐만 아니라 그 성장 시기가 비슷하다. 우산나물 또한 4월 말에서 5월 초가 채취적기이다. 고도와 지형, 그 해의 강수량 등에 따라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음은 감안해야 한다.

 

삿갓나물 군락을 이루며 자라나고 있다

 

 

이때만 해도 삿갓나물을 먹어서는 안 되는 독초로만 알았지, 그 뿌리에 약성이 있는 줄을 몰랐다. 꽃도 특이하고 뿌리에 여러 효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항암제로도 쓰이는 귀한 약초라고 하니, 삿갓나물, 독초라고 외면만 할 게 아니라 약초, 화초로도 관심 가져 봐야겠다.

 

삿갓나물

 

백합목 백합과 삿갓나물속(Paris)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꽃을 볼 수 있는 관화식물이다. 꽃 모양이 특이해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며 뿌리는 약용한다.


학명 : Paris verticillata M.Bieb.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내몽고
자생지 : 전국 높은 산의 숲 속
이명 : 칠엽일지화(전설)

생약명 : 조휴(삿갓나물 뿌리)

꽃말 : 근심
유사식물 : 우산나물

 

 

삿갓나물 생태

 

삿갓풀이라고도 한다. 여러해살이풀로 높은 산의 숲 속에서 자란다.

삿갓나물 꽃 잎, 뿌리의 모습
삿갓나물의 꽃, 열매, 잎, 뿌리 (이미지출처:국립수목원)

 

생태

 

크기

높이 20~40cm

 

직접 원줄기 끝에서 6~8개의 잎이 돌려나며, 긴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길이 3-10cm, 폭 1.5-4cm다. 주맥은 3개이며 털이 없다.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꽃은 6-7월에 피며 돌려나기 하는 윤생엽이다. 중앙에서 한 개의 꽃자루가 나와 끝에 1개의 꽃이 하늘을 향해 핀다. 꽃자루 길이는 5-15cm 정도 된다.

외꽃덮이는 4-5개로 넓은 피침형 내지는 좁은 달걀모양이고 길이 2-4cm, 폭은 5-15mm, 녹색이다. 내꽃덮이는 실 같은 선형에 끝이 뾰족하고 길이는 1.5-2cm로 노란빛이 도는데, 나중에는 밑으로 처진다.

 

 

열매

장과로 둥글며 흑자색이다. 종자가 많이 들어 있다.

 

줄기

근경 끝에서 원줄기가 나와 외대로 자라며 가지를 치지 않는다. 높이 20-40cm 정도 자라며 끝에서 6-8개의 잎이 돌려나기 한다.

 

뿌리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고, 마디마다 잔뿌리가 몇 개씩 뻗는다.

 

생육환경

산지의 숲 속에서 자란다. 낙엽수림 밑이나 북향의 경사지, 그늘 또는 반그늘에서 자란다. 습기 있는 땅을 좋아하지만 물이 고이는 곳은 썩기 쉽다. 토양은 보습이 높고 부식질이 많은 비옥한 토양이 좋다. 노지에서 월동한다.

 

번식 빛 재배

번식은 분근(포기나누기) 또는 실생(씨앗 파종)으로 번식한다.
분주는 3~4월에 싹이 움직이기 시작할 때 하면 좋다. 포기를 캐내어 싹을 1개씩 붙여서 쪼개어 정식하면 된다. 실생은 가을에 씨가 익으면 따서 직파한다. 다음 해 4월 초순경이면 싹이 튼다.
재배할 경우, 충분한 관수를 요한다. 환경내성이나 이식성은 보통이다.

삿갓나물의 독성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다. 하여 나물로서는 잘 이용하지 않는다. 만약 섭취할 경우에는 속이 울렁거리면서 메스껍고, 구토까지 할 수도 있다. 유사식용식물로는 산나물로 섭취하는 우산나물이 있다.

 

우산나물과 삿갓나물 구별하기 ▶

 

독성물질

독성물질로는 파리필린(pariphyllin), 디오신(dioscin), 네오클로로게닌(neochlorogenin ) 등이 함유되어 있다.

 

중독증상

사포닌에 의한 구토나 복통 같은 소화기계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활용 및 효능

 

관상용

녹색의 꽃잎이 특이하여 화단에 심어 관상하기도 한다.

 

약용

뿌리를 '조휴'라고 하여 약용한다.

① 연중 어느 때나 뿌리를 캐어 깨끗이 씻은 다음,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쓴다.


② 유효성분으로는 Paris polyphylla SMITH var.chinensis FRANCH.(중국산)에는 pariden 및 paristyhnin으로 불리는 steroid의 daponin이 함유되어 있다. 후자는 가수분해한 후 diosgenin을 생성한다. 그 밖에 또 alkaloid와 amino酸을 함유한다.


③ 약효는 청열해독, 평천지해, 번풍정경의 효능이 있다. 옹종, 종창, 나력, 후비, 만성기관지염, 소아경기, 뱀 불린데, 벌레 물린 데에 치료제로 쓴다. 외용으로 즙을 바르거나 가루를 도포한다.

 

항암제로서의 삿갓나물

한편 삿갓나물 뿌리가 항암제로 탁월한 효능이 있다는 의견이 있어 가져온다. 이는 소리청한의원 자료로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민간에서는 삿갓나물을 그늘에서 말렸다가 하룻밤 물에 담가 독을 뺀 것을 위장병, 속 쓰림, 신경쇠약, 불면증, 어지럼증, 소화불량증 등에 약으로 쓴다.

삿갓나물 뿌리는 염증을 삭이고 갖가지 독을 풀며 통증을 가라앉히고 부은 것을 내리는 작용이 있다. 삿갓나물(조휴)은 암세포도 억제한다. 삿갓나물의 항암작용이 상당히 세다.

중국에서는 뇌종양, 비인암, 식도암, 피부 지방종양 등에 삿갓나물을 주재료로 한 약을 써서 상당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 삿갓나물 속에 들어 있는 사포닌 성분이 갖가지 암과 전염성 병원균 및 각종 균을 죽이는 작용을 한다.

 

소리청한의원 관련글 바로 가기 ▶

 

삿갓나물과 우산나물의 차이 구별 | 포토

 

삿갓나물

 

삿갓나물 어린 순
삿갓나물 어린 순. 솜털이 없다.

 

꽃대를 올리고 있는 삿갓나물
꽃대를 올리고 있는 삿갓나물

 

새싹을 포함하여 식물 전체에 털이 없으며 잎은 주맥이 3개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뿌리를 약재로 쓴다.

 

우산나물

 

우산나물 어린 순
우산나물 어린 순. 온 몸이 솜털로 덮여 있다.

 

우산나물 군락
우산나물 군락. 잎의 끝이 두 갈래로 갈라져 있다

 

새싹을 포함하여 어릴 때는 식물 전체에 털이 있으나 꽃차례 이외는 점차 없어진다. 잎이 깊게 2갈래로 갈라지며 주맥은 1개이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갈라진 열편은 결각상의 톱니가 생기기도 한다.
어린잎을 나물로 식용한다

 

마치며

 

그동안 삿갓나물의 독성에만 주목해 오다가 이번에는 그 뿌리의 약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삿갓나물 속의 사포닌 성분으로 인해 중국에서는 항암제로서 주목받고 있다 하니, 다시 한번 독성과 약성은 종이의 앞뒷면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제 삿갓나물을 보면 외면하기만 할 것이 아니라 그 꽃도 기대해 보고 그 약성도 가늠해 볼 것 같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연영초(연령초) 포토 | 큰연영초(큰연령초)와의 차이점 구별법

 

연영초(연령초) 포토 | 큰연영초(큰연령초)와의 차이점 구별법

5월 10일, 강원도 해발 800미터 산지, 구담산방 근처에서 만났다. 커다란 몸집이 멀리서도 한눈에 들어왔다. '저게 뭐지?' 큰 잎과 눈부시게 흰 꽃, 처음 보는 식물, 꽃은 지고 있었지만 기품 있고

simsimto.tistory.com

애기똥풀 포토 백굴채 효능, 전설 꽃말까지

 

애기똥풀 포토 백굴채 효능, 전설 꽃말까지

종지나물이 가득하던 풀밭에 애기똥풀꽃이 피었습니다. 줄기를 자르면 노란 애기 똥 같은 유즙이 나오는데서 붙여진 이름 애기똥풀, 이름도 귀엽고 꽃도 예쁩니다. 하지만 애기똥풀은 독초입니

simsimto.tistory.com

야생에서 두릅 개두릅 엄나무순 음나무순 구별하는 법 | 포토

 

야생에서 두릅 개두릅 엄나무순 음나무순 구별하는 법 | 포토

봄철 기운 돋우는 나물로 두릅 개두릅 엄나무순 음나무순만 한 것이 없습니다. 용어가 산만한데, 여기서 개두릅은 엄나무순을 강원도에서 부르는 말입니다. 또한 음나무는 엄나무의 다른 이름(

simsimto.tistory.com

자리공 장녹 장록나물, 독초와 약초 사이 | 뿌리 효능 살충제

 

자리공 장녹 장록나물, 독초와 약초 사이 | 뿌리 효능 살충제

작년 4월 이맘때 심심토 밭에서 자리공을 만났다. 당시만 해도 이것이 나물로 먹을 수 있는 것인 줄 몰랐다. 자리공을 나물로 먹을 때 장녹, 장록나물이라 한다는 걸 최근에야 알았다. 또한 독초

simsimto.tistory.com

이 예쁜 것이 어찌 쥐오줌풀? _쥐오줌풀의 뛰어난 효능

 

이 예쁜 것이 어찌 쥐오줌풀? _쥐오줌풀의 뛰어난 효능

쥐오줌 냄새가 난다고 해서 쥐오줌풀, 그러나 꽃은 곱기만 합니다. 더구나 나물로도 먹고 약재로도 뛰어난 효능을 가진 기특한 산야초입니다. 4월 말 산지에서 만났던 쥐오줌풀 알아봅니다. [ 목

simsimto.tistory.com

불면증 수면 숙면에 좋은 쥐오줌풀 발레리안루트 길초근 효능

 

불면증 수면 숙면에 좋은 쥐오줌풀 발레리안루트 길초근 효능

작년에 강원도 고랭지 야산에서 쥐오줌풀을 만난 후, 쥐오줌풀에 대단한 약성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길초근이라 하여 약재로 쓰고, 서양에서는 발레리안 루트('쥐오줌풀의

gongdal.tistory.com

박새는 나물 아닌 독초, 독성식물 구별법 | 포토

 

박새는 나물 아닌 독초, 독성식물 구별법 | 포토

4월 5월, 여기저기 산나물이 올라오기 시작할 때 조심해야 할 식물 하나가 있다. 바로 박새(나물)이다. (여기서 '나물'이라고 한 것은 조류 '박새'와 구분하기 위함) 박새는 산마늘(명이나물)과 비

simsimto.tistory.com

민들레, 나물인가 약초인가 독초인가 | 서양민들레의 독성

 

민들레, 나물인가 약초인가 독초인가 | 서양민들레의 독성

산야초 아는 만큼 보이고 아는 만큼 활용할 수 있다. 알고 먹으면 나물이 되고 약초가 되지만, 모르고 먹으면 독초가 될 수도 있는 산야초. 먼저 민들레에 대해 알아본다. 민들레 종류와 함께, 나

simsimto.tistory.com

[4월의 봄꽃] 개복숭아꽃, 개복숭아 효능, 개복숭아효소 액기스

 

[4월의 봄꽃] 개복숭아꽃, 개복숭아 효능, 개복숭아효소 액기스 | 갤럭시 S24 울트라 포토

해마다 봄이면 기다려지는 꽃이 있다. 고운 새색시 마냥 화사한 개복숭아꽃이 바로 그것이다. 개복숭아는 또한 기관지 계열로 효능이 좋는데, 그래서일까? 열매는 언제 영글었나 싶게 흔적조차

simsimto.tistory.com

엉겅퀴 효능 효과, 지느러미엉겅퀴 '귀하신 몸 이제야 알아보네!'

 

엉겅퀴 효능 효과, 지느러미엉겅퀴 '귀하신 몸 이제야 알아보네!' | 실리마린

잡초가 나물이 되고, 잡초가 약초가 된다. 먹는 것이 곧 약이 된다. 밀크씨슬이니 실리마린이니 엉겅퀴에 대한 효능들이 부각되고 있는 요즘, 무심코 넘겼던 엉겅퀴에 굉장한 약성이 있음을 알

simsimto.tistory.com

광대나물은 잡초 아닌 약초, 보개초 효능, 약용 식용법 | 포토

 

광대나물은 잡초 아닌 약초, 보개초 효능, 약용 식용법 | 포토

이른 봄, 밭둑이나 길가에서 군락을 이루며 피어나는 자줏빛, 보랏빛 꽃 광대나물을 본 적 있는지? 마른땅에서 피어나 봄을 부르는 전령사처럼 화사한데, 그런데 이 잡초가 꽃만 화사한 게 아니

simsimto.tistory.com

꽃도 좋고 약재로도 좋은, 골담초 효능과 포토

 

꽃도 좋고 약재로도 좋은, 골담초 효능과 포토

골담초, 이름도 특이합니다. '뼈는 내가 담당한다'라고 큰소리치는 식물입니다. 꽃도 예쁘고 약재로서도 훌륭한 5월의 꽃, 골담초 만나 봅니다. ◈ 목차 ◈ 1. 골담초 개요 2. 특징 및 생태 줄기 뿌

simsimto.tistory.com

카무트 효소, 대체 뭐길래? 호라산밀, 카뮤트 효소 효능 및 구매 시 주의할 점

 

카무트 효소, 대체 뭐길래? 호라산밀, 카뮤트 효소 효능 및 구매시 주의할 점

건강에 관한 관심만큼이나 건강기능식품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여러분은 카무트 효소, 카뮤트 효소, 호라산 밀에 대해 들어보셨는지요? 이집트 투탕카멘 피라미드에서 발견

gongdal.tistory.com

루피니빈 루핀 루피니 콩은 당뇨콩? | 효능 요리 먹는 법 & 베네팜

 

루피니빈 루핀 루피니 콩은 당뇨콩? | 효능 요리 먹는 법 & 베네팜

루피니빈 루핀 루피니 콩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루피니빈 또한 슈퍼푸드로 주목받고 있는데, 특히 당뇨병에 좋아 당뇨콩으로 불린다. 루피니빈이 무엇인지,

simsimto.tistory.com

나물 이름 독초, 독성식물 8가지_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

 

나물 이름 독초, 독성식물 8가지_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

산나물은 자연이 주는 선물이지만 제대로 알지 못하고 채취할 경우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 식약처와 산림청에서도 독초를 산나물로 오인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당부한 바 있는데, 특

simsimto.tistory.com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세요 _ 박새, 여로, 원추리, 산마늘의 구별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세요 _ 박새, 여로, 원추리, 산마늘의 구별

산나물철이 왔습니다. 산나물과 독초의 정확한 구별이 필요한 때입니다. 식용나물인 원추리와 산마늘, 그리고 독초인 박새와 여로, 언뜻 구별하기 쉽지 않은 면이 있어 정리해 봅니다. 원추리

simsimto.tistory.com

'동의나물은 산나물이 아닌 독초'_ 머위, 곰취, 동의나물 구별하기

 

'동의나물은 산나물이 아닌 독초'_ 머위, 곰취, 동의나물 구별하기

산나물 철이 돌아왔습니다. 자연에서 자란 산나물 한 접시면 잃었던 입맛도 돌아옵니다. 하지만 봄철 산나물 채취에서 주의해야 할 것이 바로 ‘비슷하게 생긴 독초’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머

simsimto.tistory.com

머위와 닮은 식물들, 곰취, 곤달비, 털머위, 동의나물과 구별하기

 

머위와 닮은 식물들, 곰취, 곤달비, 털머위, 동의나물과 구별하기

자기 땅, 예컨대 밭 가나 집 주변에 있는 머위에 대해서는 따로 구별 절차 없이도 머위인 줄 알지만, 야생에서 머위를 만날 경우 비슷한 것들 중에는 독성 있는 것들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구별

simsimto.tistory.com


참고자료 : 국립수목원 | 소리청한의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