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토/산야초

여우오줌풀(담배풀)과는 다른, 여우오줌(왕담배풀)의 생태와 효능

by 심심토 2023. 5. 10.

얼마 전 강원도 산지에서 여우오줌을 만났습니다. 진짜 여우의 오줌이 아니라 '왕담배풀'이라고도 불리는 야생초 '여우오줌'입니다. 이름도 특이한 여우오줌, 왕담배풀의 생태와 효능 살펴봅니다.

 

 

여우오줌(왕담배풀) 개요

여우오줌은 다른 말로 왕담배풀이라고도 하며 국화과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담배풀(여우오줌풀)과는 다른 식물입니다. 자세한 것은 글 하단에 첨부합니다.

 

학명 : Carpesium macrocephalum Franch. & Sav.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초롱꽃목(Campanulales)

과 : 국화과(Compositae)

속 : 담배풀속(Carpesium)

 

특징

 

여우오줌(왕담배풀) 더보기

 

중부 이북의 산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80-150cm로 크게 자랍니다.
산지의 건조한 숲 속에서 자라며 줄기는 굵고 흰 털이 촘촘히 나 있습니다.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 마릅니다.
아랫부분의 잎은 줄기 가운데 잎은 도란상 긴 타원형으로 달걀을 거꾸로 세워 놓은 듯한 모양이고, 위쪽 잎은 긴 타원 모양 바소꼴로서 위쪽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피침형 모양입니다. 잎은 어긋나며 양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잎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겹톱니가 있습니다.
길이 30∼40cm, 나비 10∼13cm에 잎자루가 길고 끝이 뾰족합니다. 밑부분이 좁아져 잎자루로 흐르면서 날개처럼 됩니다.

 

꽃은 8 -10월에 가지 끝에서 1개씩 피며, 노란색입니다. 지름 25∼35mm로서 줄기와 가지 끝에 두상꽃차례(머리모양꽃)로 아래를 향하여 달립니다.
포(꽃싸개잎)는 피침형으로 길이 2∼7cm,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총포(모인꽃싸개)는 공을 반으로 잘라 놓은 것 같은 반구형 모양이고 길이 약 8∼10mm, 지름 23∼30mm이며, 외포편(바깥쪽 조각)이 포(꽃싸개잎)과 비슷합니다.
암꽃으로만 된 것과 양성꽃으로 된 것이 있습니다.

 

 

열매

열매는 수과로서 길이 5.5∼6mm, 지름 1mm 정도로서 중앙부가 다소 굽으며 길이 1mm 정도의 부리가 있고 겉에 선점이 있습니다.

 

분포지역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북부, 우수리강 유역, 한국, 일본 혼슈 지방 등에 분포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지방을 제외한 전국에 서식합니다.
산지의 건조한 숲 속, 낙엽활엽수 또는 침엽수가 혼재해 있는 삼림의 가장자리가 주요 생육지입니다.

 

식용법

어린 순은 나물로 먹을 수 있습니다.

 

약용법

꽃이 붙은 잎자루와 열매를 약용합니다. 예로부터 배앓이약으로 많이 썼으며, 구충제 또는 타박상 지혈제 등으로 써왔습니다.  생잎을 짓찧어 상처 난 곳이나 종기, 타박상에 사용하며, 열매는 천연 구충제로 사용합니다. 전초(포기 전체)는 해열제, 마취제로도 쓰며 항암작용 또한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항암 산약초' 관련글 보기

 

 

동의보감에는 여우오좀이라 기록되어 있으며 여우오름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한방에서는 전초를 산향규, 잎은 천명정, 열매는 학슬이라 하고, 다른 이름으로는 지숭, 천만정, 추면이 있습니다.


열매

가을에 잘 익은 열매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씁니다.

말린 열매를 프라이팬에 바싹 볶아서 가루를 내어 쓰거나 아님 볶은 열매를 환처럼 그냥 복용해도 됩니다. 이른 봄에 구충약으로 서너 번 복용하는데, 그러나 약간의 독이 있어 장복하지 않아야합니다.


전초

전초는 가을에 뿌리까지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쓰거나 생초를 쓰기도 합니다.
급성편도선염이나 말라리아, 급성간염, 근육경련, 소변불통(요도염), 급성신장염, 하퇴궤양 등에 전초 말린 것을 달여 씁니다.

 

▶'여우오줌 효능' 관련글 보기

 

 

 

기타 담배풀속 다른 식물과의 구별

같은 담배풀속에 속하는 긴담배풀(Carpesium divaricatum Siebold & Zucc.), 좀담배풀(Carpesium cernuum L.) 및 두메담배풀(Carpesium triste Maxim. var. manshuricum (Kitam.) Kitam.)과 꽃이 필 무렵 줄기의 잎이 잘 발달하고 줄기 기부에 로제트상의 잎이 없다는 점에서 유사합니다.

그러나 여우오줌은 꽃차례를 둘러싸고 있는 총포(involucre)가 이들 유사한 분류군들에 비해 넓어서 약 2.5-3.5cm 정도인 점에서 구분됩니다. 우리나라의 담배풀속(Carpesium) 식물들에 비해서 머리모양꽃은 지름 2.5-3.5cm로서 훨씬 크므로 구분됩니다.

 

담배풀(여우오줌풀)과의 구별

여우오줌(왕담배풀)과 혼동하기 쉬운 것으로 담배풀(여우오줌풀)이 있습니다.

담배풀(여우오줌풀) : 학명 Carpesium abrotanoides L.
왕담배풀(여우오줌) : 학명 Carpesium macrocephalum Franch. & Sav.

 

한글명 '담배풀(여우오줌풀)'은 긴 줄기 끝에 매달린 꽃차례 모양이 담뱃대처럼 생긴 데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는 일본명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봅니다. 우리에겐 예로부터 '여우오줌'이라는 이름이 있었습니다.
이에 관한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1417년 우리나라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6)에는 학슬(鶴蝨)에 대한 향명으로 여우의 오줌을 뜻하는 호의뇨(狐矣尿)란 한자를 빌어서 기재했고, 15세기말 『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7)에서는 한글명으로 여의오좀풀로 번역했습니다. 이것이 16세기 초 『촌가구급방(村家救急方)』8)에서 여의오좀 즉 현대 표기법으로 여우오줌이라 기재했습니다. 이렇게 볼 때, 담배풀의 한글 정명은 여우오줌 또는 여우오줌풀이 되는 것입니다.(출처: 한국식물생태보감)

 

오늘날 분류학계에서는 여우오줌이란 이름 대신에 담배풀을 통일된 이름으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또한 다른 종인  'Carpesium macrocephalum'에 왕담배풀 또는 여우오줌이란 한글명을 부여했습니다. 이로 인해 혼동이 발생했습니다. 담배풀을 여우오줌이라 하고 왕담배풀을 큰여우오줌풀이라고 했으면 좋았지 싶습니다.

 

어쨌든 지금은 여우오줌이 왕담배풀이고 여우오줌풀이 담배풀입니다. 구분해 사용해야 합니다. 
담배풀과 왕담배풀(여우오줌)에 대한 영상비교는 링크를 참고하세요

 

 

마치며

얼마 전에는 쥐오줌풀을 만났더랬습니다. 
그때 포스팅하면서 생각했던 것이 “이 예쁜 꽃에 왜 쥐오줌이라는 이름을 붙였을까?” 하는 점이었습니다.

오늘 다시 여우오줌을 다루다 보니 마찬가지 생각이 듭니다.

 

누군가 그랬습니다. '이름 없는 풀은 없다'라고.

우리 선조들이 그랬던 것 같습니다. 이름 없는 풀은 없었습니다. 살면서 만나는 모든 것들에 이름을 붙여 주었고, 그 이름들은 생활과 연관된 것이 많았습니다.

쥐오줌, 여우오줌… 어떤 냄새일까, 문득 궁금해집니다.

 

▣ 심심토 글 더보기

 

광대나물은 잡초 아닌 약초, 보개초 효능, 약용 식용법 | 포토

 

광대나물은 잡초 아닌 약초, 보개초 효능, 약용 식용법 | 포토

이른 봄, 밭둑이나 길가에서 군락을 이루며 피어나는 자줏빛, 보랏빛 꽃 광대나물을 본 적 있는지? 마른땅에서 피어나 봄을 부르는 전령사처럼 화사한데, 그런데 이 잡초가 꽃만 화사한 게 아니

simsimto.tistory.com

자리공 장녹 장록나물, 독초와 약초 사이 | 뿌리 효능 살충제

 

자리공 장녹 장록나물, 독초와 약초 사이 | 뿌리 효능 살충제

작년 4월 이맘때 심심토 밭에서 자리공을 만났다. 당시만 해도 이것이 나물로 먹을 수 있는 것인 줄 몰랐다. 자리공을 나물로 먹을 때 장녹, 장록나물이라 한다는 걸 최근에야 알았다. 또한 독초

simsimto.tistory.com

[엉겅퀴 효능] 밀크씨슬 흰무늬엉겅퀴의 실리마린-간 기능 개선 효과

 

[엉겅퀴 효능] 밀크씨슬 흰무늬엉겅퀴의 실리마린-간 기능 개선 효과

엉겅퀴에 대한 효능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몇 가지 자료를 토대로, 실리마린을 함유한 밀크씨슬(흰무늬엉겅퀴)의 간 기능 개선효과뿐만 아니라, 우리 자생 엉겅퀴들이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simsimto.tistory.com

엉겅퀴 효능 효과, 지느러미엉겅퀴 '귀하신 몸 이제야 알아보네!'

 

엉겅퀴 효능 효과, 지느러미엉겅퀴 '귀하신 몸 이제야 알아보네!' | 실리마린

잡초가 나물이 되고, 잡초가 약초가 된다. 먹는 것이 곧 약이 된다. 밀크씨슬이니 실리마린이니 엉겅퀴에 대한 효능들이 부각되고 있는 요즘, 무심코 넘겼던 엉겅퀴에 굉장한 약성이 있음을 알

simsimto.tistory.com

이 예쁜 것이 어찌 쥐오줌풀? _쥐오줌풀의 뛰어난 효능

 

이 예쁜 것이 어찌 쥐오줌풀? _쥐오줌풀의 뛰어난 효능

쥐오줌 냄새가 난다고 해서 쥐오줌풀, 그러나 꽃은 곱기만 합니다. 더구나 나물로도 먹고 약재로도 뛰어난 효능을 가진 기특한 산야초입니다. 4월 말 산지에서 만났던 쥐오줌풀 알아봅니다. [ 목

simsimto.tistory.com

5월의 야생, 꽃 색깔이 변하는 병꽃나무

 

5월의 야생, 꽃 색깔이 변하는 병꽃나무

병꽃나무는 인동과에 속하는 관목류로 5월에 꽃이 피어, 초록 일색으로 변하는 숲을 환하게 밝혀주는 꽃입니다. 햇빛을 충분히 받지 못하는 척박한 곳에서도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는 강인한 꽃

wildplant.tistory.com

꽃도 좋고 약재로도 좋은, 골담초 효능과 포토

 

꽃도 좋고 약재로도 좋은, 골담초 효능과 포토

골담초, 이름도 특이합니다. '뼈는 내가 담당한다'라고 큰소리치는 식물입니다. 꽃도 예쁘고 약재로서도 훌륭한 5월의 꽃, 골담초 만나 봅니다. ◈ 목차 ◈ 1. 골담초 개요 2. 특징 및 생태 줄기 뿌

simsimto.tistory.com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세요 _ 박새, 여로, 원추리, 산마늘의 구별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세요 _ 박새, 여로, 원추리, 산마늘의 구별

산나물철이 왔습니다. 산나물과 독초의 정확한 구별이 필요한 때입니다. 식용나물인 원추리와 산마늘, 그리고 독초인 박새와 여로, 언뜻 구별하기 쉽지 않은 면이 있어 정리해 봅니다. 원추리

simsimto.tistory.com

머위와 닮은 식물들, 곰취, 곤달비, 털머위, 동의나물과 구별하기

 

머위와 닮은 식물들, 곰취, 곤달비, 털머위, 동의나물과 구별하기

자기 땅, 예컨대 밭 가나 집 주변에 있는 머위에 대해서는 따로 구별 절차 없이도 머위인 줄 알지만, 야생에서 머위를 만날 경우 비슷한 것들 중에는 독성 있는 것들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구별

simsimto.tistory.com

머위, 머윗대, 머위뿌리의 영양성분, 효능,부작용

 

머위, 머윗대, 머위뿌리의 영양성분, 효능,부작용

산야초든 재배초든, 동물이든 식물이든, 효능이나 약성에 대해 말한다는 것은 사실 어려운 일입니다. 따라서 본 포스팅은 항간에 회자되는 효능을 수집해 언급할 뿐임을 밝히며, 다행히 서양에

simsimto.tistory.com

꽃도 좋고, 나물로도 좋은 삼잎국화(겹삼잎국화), 키다리 나물

 

꽃도 좋고, 나물로도 좋은 삼잎국화(겹삼잎국화), 키다리 나물

잎이 삼베천을 짜는 삼(대마)을 닮아 삼잎국화, 키가 크고 노랑꽃이 피어서 키다리노랑꽃, 이름에 '국화' 자가 들어있지만 모두 '루드베키아' 속 삼잎국화입니다. 이 삼잎국화가 나물로도 애용되

simsimto.tistory.com

효능 부각되고 있는 섬쑥부쟁이, 부지갱이, 부지깽이 나물, 볼수록 매력적

 

효능 부각되고 있는 섬쑥부쟁이, 부지갱이, 부지깽이 나물, 볼수록 매력적

'섬쑥부쟁이(부지갱이, 부지깽이)는 키가 크니 자리만 잡으면 잡초를 이길 것이다. 더구나 한 번 심어 놓으면 크게 손 갈 것 없는 다년생초다.' 먼 데 사는 농부는 솔깃합니다. 영양소 또한 풍부

simsimto.tistory.com

 


참고자료 : 두산백과 | 교육사랑 | 호사도요 블로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