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토/산야초

애기똥풀 포토 백굴채 효능, 전설 꽃말까지

by 심심토 2024. 5. 22.

종지나물이 가득하던 풀밭에 애기똥풀꽃이 피었습니다. 줄기를 자르면 노란 애기 똥 같은 유즙이 나오는데서 붙여진 이름 애기똥풀, 이름도 귀엽고 꽃도 예쁩니다. 하지만 애기똥풀은 독초입니다.

 

군락을 이뤄 피어난 애기똥풀꽃

 

 

독초와 약초는 동전의 앞뒷면 같은 것이어서 약성을 알면 독초도 요긴하게 쓸 수 있습니다. 애기똥풀을 약재로 쓸 때 백굴채라 하는데, 특히 피부질환에 좋다 합니다. 5월의 노란 꽃, 애기똥풀 포토와 효능 살펴봅니다.

 

 

✅ 목차

애기똥풀
애기똥풀 생태
애기똥풀 활용 및 효능
애기똥풀에 관한 슬픈 전설

 

 

애기똥풀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양귀비과의 두해살이풀.

 

애기똥풀꽃

 

 

학명 :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영어명 : ‘셀라딘(Celandine)’

분포 : 한국·일본·중국 동북부·사할린·몽골·시베리아·캄차카반도

자생지 : 마을 근처의 길가나 습지, 풀밭 가장자리

크기 : 높이 30∼80cm

개화시기 : 5월~8월

열매 : 결실기 6~9월. 삭과(튀는 열매)로 익으면 과피가 말라 쪼개지면서 씨를 퍼뜨립니다.

용도 : 식용불가(유독성). 약용(전초), 염료재(줄기즙)

이명 이칭 : 젖풀, 까치다리, 씨아똥, 버짐풀, 산황령

한약명 : 백굴채(白屈菜)

꽃말 : 몰래 주는 사랑, 엄마의 지극한 사랑

 

애기똥풀(셀라딘. Celandine)을 서양에서는 ‘악마의 우유(Devil’s milk)’이라 부른다고 합니다. 이는 강한 향과 매콤한 맛 때문인데, 이에 얽힌 재미난 이야기가 있습니다. 중세 유럽에서는 부부싸움을 하는 부부에게 이 애기똥풀의 유즙 냄새를 맡게 했다고 해요. 이는 애기똥풀 즙에 진정작용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라네요.^^

 

▶한동하의 식의보감 '애기똥풀' 더 보기

 

 

애기똥풀 생태

 

노란 애기똥풀꽃

 

 

딱! 보면 아는 꽃이요, 한 번 이름을 듣고 나면 잊어버리게 되지 않는 풀이지만 애기똥풀, 간단히 생태 정리해 봅니다.

 

뿌리

뿌리는 곧고 땅 속 깊이 들어갑니다.

 

줄기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속이 비어 있습니다. 높이 30∼80cm까지 자라고 곱슬털이 있으며 분을 칠 한 듯한 흰빛이 돕니다. 상처를 내면 노란색의 액즙이 나옵니다.

 

잎은 마주나고 1∼2회 깃꼴로 갈라집니다. 길이 7∼15cm로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습니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색입니다.

 

꽃은 5∼8월에 노란색으로 핍니다.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가지 끝에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달립니다. 꽃잎은 4개이고 긴 달걀 모양입니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 암술머리가 굵고 끝이 2개로 갈라집니다.

 

열매

열매는 삭과이고 길이 3∼4cm의 좁은 원기둥 모양입니다.

 

 

애기똥풀 활용 및 효능

 

애기똥풀은 독초지만 광범위하게 약용되는 식물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식용은 금지입니다. 애기똥풀을 먹게 되면 어지럼증, 두통, 메스꺼움, 사지마비, 혈압 강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애기똥풀에 대한 항암효과 연구도 있었는데, 연구결과 실제로 백굴채에 포함된 화학물질에는 암세포의 성장을 늦출 수 있는 물질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그러나 간염과 피부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부작용이 있고, ‘켈리도닌’이라는 유독물질이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의 세포분열까지도 억제한다는 것이 알려져, 2009년에 기능식품 사용불가 식물로 지정됐습니다.

백굴채 줄기 유즙의 주요 성분에는 상귀나린, 켈리도닌, 프로토핀 등의 알칼로이드가 있습니다. 알칼로이드는 일종의 독성분으로 식물들을 해충으로 보호하고 쓴맛 때문에 포식자들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한편 백굴채 전초에는 플라보노이드, 페놀산 등이 함유되어 있어, 이들 성분이 진통·진경·마취(마비) 작용과 함께 항염·항균·면역조절·항궤양·항암작용을 합니다.

결론하면, 애기똥풀은 약성과 독성을 함께 갖고 있는 식물입니다. 강력한 독성 탓에 애기똥풀은 2009년에 기능식품 사용불가 식물로 지정되었습니다.

따라서 일반인은 백굴채를 외용제로만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외용제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유즙이 눈에 들어가지 않게 조심해야 합니다. 구강자극으로는 입안 화끈거림, 구역감, 구토를 일으키고 호흡기 자극으로는 기침과 호흡곤란, 일부에서는 알레르기성피부염을 유발한다고도 하니 사용에 주의할 일입니다.


한편 백굴채의 독성은 건조시키면 크게 감소한다고 합니다.
<본초학>에서는 건조된 상태로 해서 1회 복용량을 2~8g 이내로 제한하고 있는데, 일반인의 경우 이 또한 주의해야 합니다. 

 

군락을 이룬 애기똥풀꽃

 

식용

애기똥풀은 독초로 식용하면 안 됩니다.

 

약용

한방에서 식물체 전체를 백굴채(白屈菜)라 하여 약용합니다.

 

 

백굴채는 진통작용, 기침 억제, 근육경련 억제, 복통 억제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위장염과 위궤양 등으로 인한 복부 통증에 진통제로 쓰고, 이질 황달형 간염 피부궤양 결핵 옴 버짐 무좀 습진 등 피부병 치료제로 사용됩니다.

<중약대사전>에는 ‘진통하고 해수를 멈추며 이뇨,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하고, 위장의 동통, 황달, 수종, 개선(疥癬), 창종(瘡腫), 뱀이나 벌레에 물린 교상을 치료한다’고 했습니다. 여기서 개선(疥癬)은 옴과 같은 기생충에 의한 피부질환을 말하고 창종(瘡腫)은 피부가 헐거나 종기처럼 나타나는 병증을 말합니다.

한편 백굴채는 외용제로서 소염, 진정, 가려움증 억제, 점막보호 작용이 있습니다. 여름철 모기나 벌레에 물린 자리에 애기똥풀 생초를 짓찧어서 알코올에 담았다가 바르거나 줄기 속의 노란 유즙을 바르면 가려움증과 통증을 다스릴 수 있습니다. 백굴채의 노란색 유즙에는 진통 진경 마취 작용이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식물지>에는 ‘줄기의 즙은 사마귀를 제거하고 각종 피부병을 치료한다’고 했습니다. 백굴채를 말려서 물에 끓인 후 그 물로 씻어도 좋고 얼굴에 난 기미나 여드름, 염증성피부질환에 세안제로 사용해도 좋다고 합니다. 사마귀에는 줄기의 노란 즙을 수일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바르면 말라서 떨어집니다.


한편 애기똥풀은 진통 소염 효과가 높아 신경통, 간기능 회복에도 사용됩니다.
신경성 피부염을 치료하려면 애기똥풀 생즙 5㎖와 박하 생즙 9㎖를 96% 알코올 3㎖에 섞어서 환부에 바르면 되는데, 가려움, 화끈거림은 치료 2∼3일 사이에 멎고 부종, 물집, 고름, 진물 등의 증상은 1주일 안에 없어진다고 합니다.
간기능 회복에는 말린 애기똥풀 12~20g을 1일 분량으로 하여 달여 복용합니다. 간염, 간경화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기타 활용

그 외 애기똥풀은 민간에서 노란색 천연염료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수확 건조

개화기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 사용합니다.

 

번식

번식은 종자번식 실생 번식합니다.

 

번식에 또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애기똥풀 씨앗에는 개미가 좋아하는 물질이 있어, 개미들이 씨앗을 집으로 끌고 가 그 부분만 떼어먹고 버리다 보니, 여기저기 애기똥풀이 번식하게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애기똥풀에 관한 슬픈 전설

 

애기똥풀의 꽃말은 '몰래 주는 사랑' '엄마의 지극한 사랑'입니다. 이에는 앞 못 보는 새끼 제비와 까치에 관한 슬픈 전설이 깃들어 있습니다.

 

가녀린 애기똥풀출 한 송이

 

 

제비와 애기똥풀 전설

옛날에 제비가 알을 낳아서 부화를 했는데 그중 앞 못 보는 새끼 제비가 있었습니다. 엄마 제비는 애기똥풀 즙을 눈에 발라주면 낫는다는 말을 듣고 애기똥풀을 찾아 나섰습니다. 그리고 애기똥풀을 발견했는데, 이런! 거기에는 뱀이 꽃을 지키고 있었습니다. 엄마 제비는 뱀과 싸우다 그만 죽고 말았다는 슬픈 이야기.

 

 

까치와 애기똥풀 전설

애기똥풀에는 또 다른 전설이 전해지는데, 눈을 뜨지 못하는 새끼 까치가 있었습니다. 안타까운 어미 까치는 새끼 까치의 눈을 뜨게 하려고, 밤낮으로 애기똥풀을 물어와 그 즙을 발라 주었습니다. 결과 새끼 까치는 눈을 떴지만 어미 까치는 그만 기력이 쇠해 죽고 말았다는 슬픈 이야기.

 

 

함께 보면 좋은 글

 

삿갓나물은 독초? 약초? 항암제? | 포토 & 효능

 

삿갓나물은 독초? 약초? 항암제? | 포토 & 효능

일전에 우산나물과 삿갓나물을 비교하며 우산나물은 식용나물인 반면, 유사하게 생긴 삿갓나물은 나물 아닌 독초니까 잘 구별해야 한다고 강조한 적이 있다. 하지만 삿갓나물은 나물로서는 함

simsimto.tistory.com

자리공 장녹 장록나물, 독초와 약초 사이 | 뿌리 효능 살충제

 

자리공 장녹 장록나물, 독초와 약초 사이 | 뿌리 효능 살충제

작년 4월 이맘때 심심토 밭에서 자리공을 만났다. 당시만 해도 이것이 나물로 먹을 수 있는 것인 줄 몰랐다. 자리공을 나물로 먹을 때 장녹, 장록나물이라 한다는 걸 최근에야 알았다. 또한 독초

simsimto.tistory.com

수면에 좋은 쥐오줌풀 길초근 발레리안루트, 그러나 독성 알고 먹자

 

수면에 좋은 쥐오줌풀 길초근 발레리안루트, 그러나 독성 알고 먹자

작년 5월, 강원도 산에서 쥐오줌풀을 만난 이래 쥐오줌풀의 효능에 반해 쥐오줌풀(한약명 길초근, 영어명 발레리안 루트)에 대해 집중 공부하고 있다. 진정작용 신경안정작용이 뛰어나 불면증,

simsimto.tistory.com

병꽃나무, 꽃도 좋고 약성도 좋고! | 포토 & 효능

 

병꽃나무, 꽃도 좋고 약성도 좋고! | 포토 & 효능

작년 5월 함양, 지리산 가는 길 오도재에서 병꽃나무꽃을 만났다. 차를 오도재 주차장 세우고 주변을 탐방하던 중, 한창 피어나고 있는 야생 병꽃나무 무리를 보았다. 무척 아름다웠다. 그 병꽃

simsimto.tistory.com

박새는 나물 아닌 독초, 독성식물 구별법 | 포토

 

박새는 나물 아닌 독초, 독성식물 구별법 | 포토

4월 5월, 여기저기 산나물이 올라오기 시작할 때 조심해야 할 식물 하나가 있다. 바로 박새(나물)이다. (여기서 '나물'이라고 한 것은 조류 '박새'와 구분하기 위함) 박새는 산마늘(명이나물)과 비

simsimto.tistory.com

민들레, 나물인가 약초인가 독초인가 | 서양민들레의 독성

 

민들레, 나물인가 약초인가 독초인가 | 서양민들레의 독성

산야초 아는 만큼 보이고 아는 만큼 활용할 수 있다. 알고 먹으면 나물이 되고 약초가 되지만, 모르고 먹으면 독초가 될 수도 있는 산야초. 먼저 민들레에 대해 알아본다. 민들레 종류와 함께, 나

simsimto.tistory.com

엉겅퀴 효능 효과, 지느러미엉겅퀴 '귀하신 몸 이제야 알아보네!'

 

엉겅퀴 효능 효과, 지느러미엉겅퀴 '귀하신 몸 이제야 알아보네!' | 실리마린

잡초가 나물이 되고, 잡초가 약초가 된다. 먹는 것이 곧 약이 된다. 밀크씨슬이니 실리마린이니 엉겅퀴에 대한 효능들이 부각되고 있는 요즘, 무심코 넘겼던 엉겅퀴에 굉장한 약성이 있음을 알

simsimto.tistory.com

여우오줌풀(담배풀)과는 다른, 여우오줌(왕담배풀)의 생태와 효능

 

여우오줌풀(담배풀)과는 다른, 여우오줌(왕담배풀)의 생태와 효능

얼마 전 강원도 산지에서 여우오줌을 만났습니다. 진짜 여우의 오줌이 아니라 '왕담배풀'이라고도 불리는 야생초 '여우오줌'입니다. 이름도 특이한 여우오줌, 왕담배풀의 생태와 효능 살펴봅니

simsimto.tistory.com

나물 이름 독초, 독성식물 8가지_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

 

나물 이름 독초, 독성식물 8가지_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

산나물은 자연이 주는 선물이지만 제대로 알지 못하고 채취할 경우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 식약처와 산림청에서도 독초를 산나물로 오인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당부한 바 있는데, 특

simsimto.tistory.com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세요 _ 박새, 여로, 원추리, 산마늘의 구별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세요 _ 박새, 여로, 원추리, 산마늘의 구별

산나물철이 왔습니다. 산나물과 독초의 정확한 구별이 필요한 때입니다. 식용나물인 원추리와 산마늘, 그리고 독초인 박새와 여로, 언뜻 구별하기 쉽지 않은 면이 있어 정리해 봅니다. 원추리

simsimto.tistory.com

'동의나물은 산나물이 아닌 독초'_ 머위, 곰취, 동의나물 구별하기

 

'동의나물은 산나물이 아닌 독초'_ 머위, 곰취, 동의나물 구별하기

산나물 철이 돌아왔습니다. 자연에서 자란 산나물 한 접시면 잃었던 입맛도 돌아옵니다. 하지만 봄철 산나물 채취에서 주의해야 할 것이 바로 ‘비슷하게 생긴 독초’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머

simsimto.tistory.com

머위와 닮은 식물들, 곰취, 곤달비, 털머위, 동의나물과 구별하기

 

머위와 닮은 식물들, 곰취, 곤달비, 털머위, 동의나물과 구별하기

자기 땅, 예컨대 밭 가나 집 주변에 있는 머위에 대해서는 따로 구별 절차 없이도 머위인 줄 알지만, 야생에서 머위를 만날 경우 비슷한 것들 중에는 독성 있는 것들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구별

simsimto.tistory.com

꽃도 좋고 약재로도 좋은, 골담초 효능과 포토

 

꽃도 좋고 약재로도 좋은, 골담초 효능과 포토

골담초, 이름도 특이합니다. '뼈는 내가 담당한다'라고 큰소리치는 식물입니다. 꽃도 예쁘고 약재로서도 훌륭한 5월의 꽃, 골담초 만나 봅니다. ◈ 목차 ◈ 1. 골담초 개요 2. 특징 및 생태 줄기 뿌

simsimto.tistory.com

쥐오줌풀 포토 & 길초근 효능

 

쥐오줌풀 포토 & 길초근 효능

작년에 강원도 고랭지 야산에서 쥐오줌풀을 만났다. 꽃이 예뻐 한참을 쪼그리고 앉아 사진에 담았다. 그런데 알고 보니 이 쥐오줌풀의 약성이 대단하다. 한방에서는 길초근이라는 생약명으로

wildplant.tistory.com

[5월 봄꽃] ‘만 가지 병에 만병초’ 꽃이 아름다운 만병초 포토

 

[5월 봄꽃] ‘만가지 병에 만병초’ 꽃이 아름다운 만병초 포토

5월 중순, 가평 아침고요수목원에서 만병초를 만났습니다. 이제 막 꽃망울을 터뜨리는 자태가 아름다워 눈길이 절로 가던 만병초. 꽃도 아름답지만 예로부터 '만 가지 병에 쓰이는 약초'라 불리

wildplant.tistory.com

불면증 수면 숙면에 좋은 쥐오줌풀 발레리안루트 길초근 효능

 

불면증 수면 숙면에 좋은 쥐오줌풀 발레리안루트 길초근 효능

작년에 강원도 고랭지 야산에서 쥐오줌풀을 만난 후, 쥐오줌풀에 대단한 약성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길초근이라 하여 약재로 쓰고, 서양에서는 발레리안 루트('쥐오줌풀의

gongdal.tistory.com


참고자료 : 두산백과 | 농촌진흥청 | 문화일보 | 헬스경향 | 한동하의 식의보감

댓글